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이견이 크지 않은 민생법안들을 합의 처리하기로 손을 잡았다. 여야 원내대표도 ‘여·야·정 민생 협의체’, 혹은 ‘정부·국회 상시 정책협의기구’ 구성을 제안하며 협치에 한 목소리를 냈다. 연임이 확실한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는 민생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여야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2자냐, 3자냐의 차이는 있지만 대통령실이나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도 기본적으로 긍정적이다.
국정의 책임자인 윤석열 대통령과 집권여당은 야당의 협조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처지다. 지난 총선에서 국민이 만들어준 구도다. 민주당도 정부 발목잡기와 이재명 방탄만으로는 정권 교체가 쉽지 않다. 윤 대통령을 그렇게 흔들어도 정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에 밀리고 있는 최근 여론조사 결과가 말해준다.그러면 협치 국면으로 바뀌는 건가. 아직은 쉽지 않다. 당장 민주당은 8일 채 상병 특검법을 세 번째 발의한다. 윤 대통령이 두 번이나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이다. 제3자 특검법으로 협상할 생각도 없다.하고 있는 상황이다. 과방위는 9일 ‘방송장악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그런데 7일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14일과 21일 ‘불법적 방송문화진흥회 이사 선임 등 방송장악’ 2, 3차 청문회를 열기로 의결했다.
그러나 방송 4법은 지난달 30일 정부에 이송됐다. 대통령은 15일 이내에 공포하거나 돌려보내도록 헌법에 규정돼 있다. 이에 따라 6일 국무회의는 재의요구권을 의견했는데, 경향신문 주장은 이를 공포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일단 더 이상 갈등이 악화되지 않도록 새로운 요인을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여야에 협치 의견이 큰 흐름을 형성한 것은 바람직하다. 그 와중에도 깃발을 흔드는 정치인이나 이를 부추기는 듯한 언론보도가 자제되어야 협치로 갈 수 있다.김진국 전 중앙일보 대기자는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해 정치부 기자를 시작으로 정치·국제 에디터, 편집국장대리, 논설주간, 대기자, 칼럼니스트를 거쳤다. 35년 대부분을 정치 현장에서 취재하고 칼럼니스트로 활약한 정치 분야 베테랑 기자였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관점의 관점+] 다시 맞는 제헌절···헌법이 부끄러운 오늘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사과가 답이다…미룰수록 매를 번다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널뛰기 장세의 나비효과?···여야 협치 불씨를 살려야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전공의 한꺼번에 사표 수리해도 진료 공백 없을까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물난리 속에 탄핵 청문회···탄핵이 정치 장난인가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
[관점의 관점+] 너무 자주 등장하지만, 해야 할 사과는 않는 김건희 여사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