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생, 향년 73. 너무 이르다. 시대의 아픔을 자기 것으로 품고, 남들은 못하거나 피하는 궂은일을 부지런히 좇느라 몸이 일찍 다 닳아버린 탓일 게다. 그가 스스로 진 많은 짐 가운데 하나도 제대로 덜어주지 못한 우리는, 마냥 미안하다. 김민기. 2024년 7월
21일, 그가 떠났다. 한 시대가 저물었다.
사람들은 그를 ‘아침 이슬’이라 부를 것이다. 이 노래는 1971년 첫 음반이 나오자마자 압수당하고 금지곡이 되어 그에게 큰 시련을 안겼다. 하지만 군사독재정권 시절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었다. 1987년 ‘6월 항쟁’ 때 거리에서 가장 많이 불린 노래였다. 2008년과 2016년 촛불집회에서도 광장에서 사람들은 이 노래를 함께 불렀다. 이 나라 민주주의는 그에게 적잖은 빚을 졌다. 사람들은 그를 ‘학전’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를 것이다. 1991년 그가 대학로에 세운 소극장 학전과 극단 학전은 대학로 공연 문화의 뿌리가 되었다. 우리나라 뮤지컬 역사에 기념비적 작품인 ‘지하철 1호선’은 1994년부터 2023년까지 8천회 넘게 공연하며, 뛰어난 연기자들을 배출해냈다. 학전은 김광석을 비롯해 많은 가수가 대중을 만나는 장이었다. ‘배움의 밭’이란 뜻의 학전은 글자 그대로 ‘문화예술 인재를 길러내는 못자리’였다.그가 걸어온 길은 순탄하지 않았다. 권력의 탄압으로 가수와 작곡가로서 일할 수 없었던 젊은 날, 그는 생계를 위해 공장과 탄광에서 일했다. 낙향해 농사를 짓기도 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상록수’를 작곡하고, 노동자들이 처한 현실을 담은 마당극 ‘아구’와 노래극 ‘공장의 불빛’을 만들며 시대와 호흡했다. 학전을 운영하는 동안에도 만성적 재정난에 시달렸지만 다른 공연장에선 좀체 올리지 않는 어린이·청소년극을 고집스레 만들었다.
어떤 이는 존재만으로도 든든한 기둥이 되고, 마음에 위로가 된다. 문화예술인들만이 아니라, 엄혹했던 시대 사람들의 마음이 무너지지 않게 받쳐준 ‘뒷것’ 김민기도 그런 사람이었다. 늘 푸르렀던 사람, 그가 떠난 자리가 너무도 황량해 우린 한동안 몸살을 앓을 것이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뒷것’ 김민기 뒤에 장일순이 있었다 [책&생각]장일순 평전 걸어 다니는 동학, 장일순의 삶과 사상 한상봉 지음 l 삼인 l 3만원 최근 방영된 다큐멘터리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많은 사람은 음악가이자 공연제작자였던 김민기의 삶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 ‘앞것’이 아니라 ‘뒷
Read more »
김민기 그리고 세상의 모든 ‘뒷것’들 [김영희 칼럼]김영희 | 편집인 지난달 암으로 세상을 떠난 홍세화 선생의 장례식장에서 그에게 미리엘이라는 세례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지난해 12월 홍세화 친척의 요청으로 성공회 이대용 신부가 사회주의자이자 아나키스트인 그를 찾았다. 세례를 받겠냐는 물음에 한참 망
Read more »
“그 사람이 누군데 3부작 다큐를?” ‘뒷것 김민기’ PD가 밝힌 뒷이야기한사코 인터뷰를 거절했다. “저희가 한 게 아무것도 없다”고 했다. “선생님의 삶 자체가 감동이었고, 선생님의 지인들과 학전 기획실에서 많은 도움을 줘서 저희는 퍼즐만 맞춘 것뿐이에요.” 여러 차례 설득 끝에 지난 9일 서울 목동 에스비에스(SBS) 사옥에서 만난 ‘에
Read more »
대한민국임시정부 축하 전단지, 국가등록문화유산 된다‘우리 민족은 대한민국의 국민이오 우리 민족을 통치하는 자는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니 우리 민족은 영원히 다시 일본의 지배를 받지 아니할지라’. 1919년 3·1만세운동의 여운이...
Read more »
방송3법 '대통령 거부권' 넘어서려면... 이 방법밖에 없다[넥스트브릿지] 22대 국회가 해야 할 과제와 정책 제안 - 언론개혁, 국민의 마음을 얻는 방법
Read more »
“옆집 엄마가 성교육 과외 시키재”…손에 손 잡고 찾은 ‘이곳’ 올해 예약 꽉 찼다청소년 범죄피해 늘어나자 사설 교육업체까지 노크 대부분 하반기 예약 끝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