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기록의 기억] (94) 설악산 육담폭포 출렁다리

United States News News

[반세기, 기록의 기억] (94) 설악산 육담폭포 출렁다리
United States Latest News,United States Headlines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1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7%
  • Publisher: 51%

설악산 단풍이 절정이다. 기후변화로 평균기온이 상승하면서 지난 15년간 연간 평균 0.33일씩 단...

사진 크게보기 설악산 육담폭포 출렁다리 2023년. 셀수스 협동조합 제공외설악의 들머리인 소공원을 들어와 설악산 반달가슴곰 조형물을 만나면, 조형물 왼쪽에 육담폭포, 비룡폭포, 토왕성폭포 전망대로 가는 길을 표시하는 이정표가 보인다. 쌍천 위에 놓인 긴 비룡교를 지나면 숲길이 이어진다. 숲길이 끝나면 계곡이 나오는데, 그 계곡길을 400여m 올라가다 덱 계단을 만나면 육담폭포가 눈앞에 펼쳐진다.

출렁다리를 지나면 비룡폭포로 이어지는 오르막 덱 계단이 나온다. 바로 그곳에서 1971년과 2023년의 사진이 찍혔다. 반세기가 넘는 세월이 흘렀고 사진이 찍힌 계절도 다르지만, 설악의 아름다움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이 아름다움은 지금 심각한 위험에 처했다. 총연장 3.3㎞의 ‘오색케이블카’가 설치되려 하기 때문이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kyunghyang /  🏆 14. in KR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대통령과 유족 방문해 사과하겠나' 묻자 이상민 '당연히''대통령과 유족 방문해 사과하겠나' 묻자 이상민 '당연히'[국감-행안위] 참사 직후 받은 '수상한' 문자 메시지에 경찰청장 "누군지 기억 안 나"
Read more »

미시령 백담3터널 ‘지하수 유출’에 설악산 도적폭포 훼손 우려미시령 백담3터널 ‘지하수 유출’에 설악산 도적폭포 훼손 우려설악산국립공원 통과 백담3터널 공사에터널학회 “미시령터널로 지하수위 내려가또 유출되면 도적폭포 등 주변 계곡 영향환경부가 전문모니터링단 꾸려 관리해야”소백산 죽령터널 굴착 지하수 관리 부실굴착 완료 6년됐지만 매일 수천톤 콸콸
Read more »

설악산 지하수 유출 걱정하면서…터널공사 기준 ‘완화’ 요구한 까닭은?설악산 지하수 유출 걱정하면서…터널공사 기준 ‘완화’ 요구한 까닭은?국가철도공단은 설악산국립공원을 통과하는 동서고속철 백담3터널 구간 환경영향평가서에서 터널 굴착으로 1m에 ‘분당 0.5리...
Read more »

미시령 백담3터널 ‘지하수 유출’에 설악산 도적폭포 훼손 가능성미시령 백담3터널 ‘지하수 유출’에 설악산 도적폭포 훼손 가능성설악산국립공원 통과 백담3터널 공사에터널학회 “미시령터널로 지하수위 내려가또 유출되면 도적폭포 등 주변 계곡 영향환경부가 전문모니터링단 꾸려 관리해야”소백산 죽령터널 굴착 지하수 관리 부실굴착 완료 6년됐지만 매일 수천톤 콸콸
Read more »

1년 전 그 골목, 이태원 길에 새겨진 '기억' '안전' 글씨들1년 전 그 골목, 이태원 길에 새겨진 '기억' '안전' 글씨들[현장] 1주기 앞두고 참사 현장에 마련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진상규명 있어야 완성"
Read more »

“3만 명 희생 ‘군사독재의 기억’ 이으려 나무 심어요”“3만 명 희생 ‘군사독재의 기억’ 이으려 나무 심어요”25일 주한 아르헨티나 대사관에서‘성스러운 나무’ 자카란다 심기 행사76~83년 군사정부 희생자 추모하려2021년부터 나무 3만그루 심기 운동인권침해 대표 공간 ‘에스마 추모관’ 지난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도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6 02:4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