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계약 절반 상승 거래 입주 늘어난 강동구는 전년比 하락 거래
입주 늘어난 강동구는 전년比 하락 거래 지난달 1년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전세계약 절반이 직전거래가격 대비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매물 부족에 따른 전셋값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세입자들의 고민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서울 전셋값이 약세를 보였던 지난해 동월 전세상승거래 비율과 비교하면 상승거래 비율은 4% 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동기간 하락거래는 46%에서 41%로 감소했다.이어 은평구 61%, 종로구 56%, 용산구 54%, 금천구 52%, 동대문구 52%, 강북구 51%, 성북구 51%, 강서구 51%, 성동구 51%, 서초구 51%, 마포구 50%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 자치구에서는 절반 이상 거래가 1년내 직전거래가보다 전셋값이 올라 거래됐는데, 도심 접근성이 양호하고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한 단지에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분석됐다.
반면, 강동구는 전세수요가 분산되며 전세거래 중 52%가 1년내 직전 거래가격과 비교해 전셋값이 낮은 가격에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구에서는 새 아파트와 기존의 신축들의 연달아 전세계약 4년차에 도달하며 물량이 늘고 있다.직방 관계자는 “올해 새 아파트 공급량은 2만4139가구로 2021~203년 평균 2만6124가구와 비슷한 수준”이라면서도 “강동구에 올해 공급의 약 70%이 집중되며 지역별 전세시장은 매물 수급불균형이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2020년 시작된 임대차 계약갱신청구권의 만기 시점이 올해 8월에 다가오면서 계약갱신 만료 매물이 시장에 나올수도 있지만 그동안 올리지 못했던 가격이 반영되며 전셋값은 더욱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세 수급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인 전세수급지수도 2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100을 넘어섰다. 전세수급지수는 100보다 낮으면 전세를 내놓는 사람이 많고, 100보다 높으면 전세를 구하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서울 전세수급지수는 전세난이 최고조에 달했던 2020년 11월 133.3으로 고점을 찍은 뒤 지속적으로 하락해 2022년 12월 60.4까지 낮아졌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 다시 기준선인 100을 회복했다. 전문가들은 저금리 정책대출 등의 영향으로 올해 들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주택 매수보다는 임대차에 머무는 이들이 여전히 많다고 입을 모은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올것이 왔다”... 4년계약 끝나가자 걸려온 집주인 전화에 세입자 좌불안석임대차법 시행 만 4년 다가와 집주인 대부분 보증금 대폭 인상 전세물량 급감에 세입자 발동동
Read more »
'짠내 전세족' 몰리는 노후 재건축 단지서울 전셋값 6주 연속 상승에저렴한 임차료 40년차도 북적전용 83㎡ 2억원 '과천주공'서울 신혼부부 앞다퉈 진입
Read more »
“졸지에 전세사기범 될판”…‘이것’ 폭탄에 보증금 돌려줘야한다는데 무슨 일지난해 보증한도액 줄었는데 공시가 하락 겹쳐 한도 또 축소 연립·다세대 전셋값 더 내릴듯
Read more »
학교·역 인근 아파트 전세 동났다…서울 전셋값 49주 연속 상승 왜?전세 매물 작년 초 대비 44% 급감 5월 신규 입주 물량 단 한채도 없어 전셋값 상승에 계약갱신 세입자 늘어 “매매 관망세도 전세물량 부족 원인”
Read more »
“개포동 32평 전세가 3억8천?”…‘짠내 전세족’ 몰리는 이곳 어디?서울 전셋값 6주 연속 상승에 저렴한 임차료 40년차도 북적 전용 83㎡ 2억원 ‘과천주공’ 서울 신혼부부 몰려가기도
Read more »
“보증금 못받을까 잠못든게 엊그제인데”...전세난에 애간장타는 세입자서울 세입자 역전세 이어 전세난 시름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51주 연속 상승 역대 최고가의 84%까지 회복 “매물 품귀로 전세난 당분간 이어질 듯”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