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들이 채 상병 순직 및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와 임성근 전 사단장과의 관계를 의심할 만한 카카오톡 대화 내용과 이 전 대표와의 통...
해병대 예비역연대 법률 자문을 맡은 김규현 변호사가 지난 6월 서울 용산구 중앙지역군사법원 앞에서 열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5차 공판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시민사회단체들이 채 상병 순직 및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와 임성근 전 사단장과의 관계를 의심할 만한 카카오톡 대화 내용과 이 전 대표와의 통화 녹취록 등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신고·제출한 김규현 변호사에 대한 신변보호조치를 요청했다.이들은 “김 변호사의 공익신고 신뢰성을 훼손하려는 정치인의 기자회견이 열리고, 김 변호사를 음해하거나 신변안전을 위협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며 “과거 고발사주 의혹을 제보한 조성은씨에 대해 온라인상 협박과 폭언 등을 이유로 신변보호조치를 했을 때처럼 조속히 경찰청에 신변 보호를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김 변호사가 지난 4일 공수처에 제출한 카카오톡 대화 내용과 녹취록에는 이 전 대표와 임 전 사단장의 관계를 의심할 만한 내용 및 이 전 대표가 김건희 여사와 친분을 유지해 온 정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며 “김 변호사의 신고로 임 전 사단장이 이 전 대표를 통해 구명 로비를 했는지, 그에 따른 수사 외압으로 임 전 사단장이 채 상병 순직 사건의 혐의자에서 제외된 것인지 등을 수사할 단초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가 공수처에 제출한 녹취록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김 변호사에게 “ 사표를 낸다고 해서 내가 절대 사표 내지 마라, 내가 VIP한테 얘기를 하겠다” “아마 내년쯤 별 4개 만들 것”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VIP가 대통령이나 김 여사를 지칭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최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진술서를 보내 자신의 ‘구명 로비’ 의혹에 관여한 것으로 지목된 인물을 지난해 해병대 훈련 참관에 초청한 것이 사실이라...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민주당 “800-7070 주인, 대통령 아니면 설명 안 돼” 총공세더불어민주당이 19일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 관련 ‘VIP 격노설’이 제기된 당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대통령실 번호 ‘02-800-7070’의...
Read more »
박홍근 '02-800-7070 주인, 원희룡 전 장관은 알고 있다'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올린 페이스북 화면 〈출처=박홍근 의원 페이스북〉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군사법원을 통해 공개된 02-800-7070 통화 기록을 두고 원희룡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에
Read more »
황운하 “임성근, 금수저보다 좋다는 만사형통 ‘건희수저’”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27일 해뱅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배경에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 대한 구명 로비가 있었다는 의혹에 대해 “임 전 사단장이 금수저보...
Read more »
통화기록까지 드러났지만…'대통령실' 앞에서 막힌 수사[앵커]이 사건 취재해 온 유선의 기자와 스튜디오에서 풀여야 할 의문들을 짚어보겠습니다.유 기자, 채 상병 사건 수사 어디까지 진행됐는지부터 짚어보죠.[기자]지금 수사는 크게 3갈래로 진행되고 있습니다.사건
Read more »
[이충재 칼럼] 윤 대통령, 탄핵 청원에 직접 답하라100만 명 넘는 탄핵 청원에 위기감 없는 용산... '채 상병 수사 외압' 격노 실체, 탄핵 트리거 될 것
Read more »
법무장관, 채 상병 특검법에 “독재·전체주의”…국무위원들 거부권 힘 싣기정부는 2일 ‘해병대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 외압 의혹에 관한 특별검사법’ 국회 본회의 상정을 앞두고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의 정당성을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