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의 백령도에서 북한 쓰레기 풍선을 레이싱 드론으로 격추한 작전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정보기관 사정을 아는 소식통은 국정원이 10월 말~11월 초 백령도에서 북한 쓰레기 풍선을 레이싱 드론으로 수차례 격추했다고 밝혔다. 이 작전은 홍장원 당시 국정원 1차장의 건의로 이루어졌으며, 윤석열 대통령은 이를 '크게 칭찬'했다는 전언이 나왔다.
지난 8월21일 오후 열린 ‘북한 화생방 위협 대비 쓰레기 풍선 , 화학 및 자폭 드론 테러 대응 을지연습 실제 훈련’에서 특수 제작 드론을 활용한 쓰레기 풍선 임의 착륙 시연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정보기관 사정을 잘 아는 여러 소식통은 25일 한겨레에 “국정원이 지난 10월 말~11월 초께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의 협조를 받아 인천 옹진군 백령도 일대에서 북한 쓰레기 풍선을 레이싱 드론으로 수차례 격추했다”고 밝혔다. 레이싱 드론은 조종하는 사람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실제 드론에 탄 것처럼 정밀하게 조종·사격할 수 있도록 만든 무인기를 말한다. 동참모본부는 △북방한계선 일대 드론 비행은 무력충돌 위험이 높고 △정전협정을 유지·관리하는 유엔군사령부가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며 반대했지만, 홍 전 차장이 밀어붙여 작전이 이뤄졌다고 한다. 조태용 국정원장이 이를 윤 대통령에 보고했고 ‘대통령님이 크게 칭찬하셨다’며 국정원 회의에서 우수 사례로도 공유됐다고 한다.백령도는 서해 북방한계선 바로 밑에 있는 섬으로, 북한 황해도까지 거리가 17㎞에 불과하다. 북한이 북방한계선을 남북 해상경계선으로 인정하지 않고 백령도·연평도 근처 바다도 북한 영해라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한국 드론이 북방한계선 근처에서 북한 풍선을 격추할 경우 북한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지난 10월11일 북한이 “한국 무인기가 평양에 침투했다”고 발표하고 27일에는 “평양 침투 무인기가 백령도에서 이륙했다”고 밝힌 바 있어, 국정원 안에선 백령도에서 드론 작전을 벌이는 데 우려가 나왔다고 한다.
한반도 북한 안보 국정원 백령도 레이싱 드론 쓰레기 풍선 비상계엄 윤석열 홍장원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북한 쓰레기 풍선 경보 메시지와 분단 현실북한이 대남 쓰레기 풍선을 부양하는 상황에 대한 경보 메시지가 이어지며, 분단국가로서의 대한민국의 현실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통일에 대한 논의가 식상해진 상황에서, 분단의 상흔을 떠올리게 한다. 또한, 한 작가의 작품은 프랑스에서 발견된 한글 낙서를 통해 그 배후의 이야기를 추적하고 있다.
Read more »
‘북한 조망’ 김포 애기봉에 높이 40m 국기게양대 추진 ‘논란’경기 김포시가 북한 들녘을 조망할 수 있는 애기봉에 높이 30~40m의 국기게양대 설치를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다. 앞서 지난 6월 오세훈 ...
Read more »
마흔에 발견한 글재주와 비밀 작전 소설 '남극 펭귄 생포 작전'나는 마흔에 글재주의 재능을 발견하고, 이 사실을 아들에게 이야기하며, 스스로가 즐거운 일을 찾아야함을 강조한다. 여기에 더해, 남극 펭귄 생포 작전이라는 비밀 작전 소설을 쓰게 된 이야기도 함께 공유한다.
Read more »
국경 등주, 취임식 리허설, 사고 현장이미지 뉴스: 미국 국경 넘어가려는 이주민, 미국 대통령 취임식 준비, 수색과 군사 작전, 재난과 사고
Read more »
울산시, 세계적 공연장 건립 위치를 삼산매립장으로 결정울산시는 문화도시 울산을 대표하는 상징물로 추진하는 세계적 공연장 건립 위치를 과거 쓰레기 매립장이었던 삼산매립장으로 최종 결정했습니다.
Read more »
“김용현, 계엄 1주 전 북 풍선 ‘원점타격’ 지시…국지전 유도”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비상계엄 선포를 1주일 가량 앞둔 지난 주 북한 쓰레기 풍선을 원점타격하라는 지시를 김명수 합동참모본부(합참) 의장에게 내렸다는 주장이 7일 제기됐다. 북한 쓰레기 풍선에 과잉 대응해 남북 국지전을 야기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으로 삼으려 했다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