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곽윤아 기자=한국 증시가 석달 전 '블랙먼데이'(글로벌 증시 동반 하락) 충격에서 벗어나는 속도가 주요 20개국(G20) ...
곽윤아 기자=한국 증시가 석달 전 '블랙먼데이' 충격에서 벗어나는 속도가 주요 20개국 중 러시아, 튀르키예 다음으로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같은 기간 G20의 주요 지수 수익률과 비교하면 러시아, 튀르키예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낙폭이다.한국 경제 상황을 전쟁 중인 러시아나 물가상승률이 50%에 육박하는 터키와 대등하게 보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코스피의 회복력은 사실상 G20 중 꼴찌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
반면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이탈리아, 호주 등 주요국 증시는 블랙먼데이 이후 뚜렷한 우상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이중 일본과 비교하면 코스피의 부진한 회복력이 여실히 드러난다.하지만 이튿날 곧바로 10.23% 오르고, 8월 13일엔 블랙먼데이 직전 수준을 회복했다. 이후 증시는 추세적으로 우상향 곡선을 그려나갔다.특히 한국 시장에 전해진 잇따른 낭보에도 코스피는 상승 동력을 얻지 못했다. 9월 미국의 빅컷, 10월 한국은행의 38개월만 기준금리 인하, 이달 초 더불어민주당의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방침 발표 등은 코스피 반등을 이끌만한 호재로 꼽혔다.자산운용업계의 한 관계자는"제도 개선이나 경제 여건을 떠나서 한국 기업들에 대한 성장성에 의구심이 큰 게 외국인 투자자들이 떠나는 이유"라며"가령 미래 먹거리라는 인공지능 부문에서 성과를 내거나 투자를 열심히 하는 한국 기업이 얼마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실제 한국은행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의 주식투자자금은 지난 8월부터 지난달까지 3개월째 순유출되고 있다. 그 규모는 지난 8월 18억5천만달러에서 9월과 10월 각각 55억7천만달러, 41억7천만달러로 커졌다.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트럼프의 재집권 후 감세, 자국 기업 혜택 강화 등에 대한 정책이 시행되면 미국 증시는 더욱 힘을 받을 것"이라며"이 경우 국내 증시를 떠나 해외 투자를 늘리려는 유인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미국 대선과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계기로 코스피 분위기 반전의 계기가 만들어졌다고 본다"며"실적 대비 저평가 업종이자 낙폭이 과대했고, 트럼프 당선 직후 급락세를 보인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업종들이 코스피 상승세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증시 살리는 대통령이 최고’ 인도보다 수익률 높은 이 나라…아르헨티나 역대급 상승 랠리괴짜 대통령 개혁 추진에 증시 환호 아르헨 메르발 지수 올해 98% 폭등 ‘글로벌X 아르헨 ETF’도 46% 올라 금융주 외에 에너지 업종 매력 부각 월가 큰손·한국 포스코도 투자 나서
Read more »
인도 함께간 현대차 부품주, 쌀때 사볼까현대차, 22일 인도 증시 입성내년부터 年100만대 현지생산시장 점유율 높이며 성장 시동화신 등 동반진출社 수혜 전망
Read more »
백종원, 더본코리아 상장 대박…'4천억원대 주식부자'(종합)(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백종원 더본코리아[475560] 대표가 증시 상장으로 4천억원대 주식 자산가가 됐다.
Read more »
광군제 앞두고, 희비 엇갈리는 ‘K-뷰티’株국내 화장품 3대장 증시 부진 ODM 업체는 세자릿수 성장
Read more »
“내년 삼천피 간다면서 최저 2300이라니”…증권가 코스피 예상밴드 논란내년 증시 전망…‘상저하고’ 흐름 예상
Read more »
‘트럼프 승리’ 예상에 희비 엇갈린 아시아 증시…한국·중국 울고 日·대만 웃었다외국인 연일 한국 주식 순매도 행렬 6일 일본과 대만증시는 상승 마감 중국 및 홍콩 증시는 투심 흔들려 엔비디아 효과 절반 그친 K반도체 중국 최대 파운드리 SMIC 매도세 도쿄일렉·TSMC…日·대만 반도체 강세 中저가공세에 도요타·혼다 이익줄자 한국 현대차·기아도 매도세 속 하락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