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송정은 기자=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지난해 미국에 처음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한국 경제의 역동성에 대한 우려가...
출생아 수 하락, 고령화 상승 민경락 송정은 기자=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지난해 미국에 처음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한국 경제의 역동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빠듯한 나라살림 탓에 당분간 재정이 총요소생산성 혁신의 과감한 마중물 역할을 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도 현 정부로서는 아쉬운 대목이다.20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는 지난 5월 우리나라의 2023·2024년 잠재 국내총생산 성장률을 각각 2.0%로 제시했다. 지난해 6월 산정한 추정치보다 모두 상향 조정된 것이다.반면 미국은 2020∼2023년 잠재성장률이 1.9%에서 2.1%로 상승한 데 이어 올해에도 작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잠재성장률 통계가 산정된 2001년 이후 처음으로 작년 한국을 추월한 데 이어 올해도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웃돌고 있다.
잠재 GDP는 한 나라의 노동·자본·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모두 동원하면서도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이다.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기초 체력'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가파른 고령화 탓에 성장 잠재력의 개선도 한계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노동공급 자체가 줄면 자본 투입에 대한 생산성도 줄어들어 자본의 성장 기여도도 함께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최상목 “부자감세 지적 동의 못해…경기촉진 취한 것”기재부 국감서 “상속세 25년간 안 변해...다시 디자인해야” 내년 경제전망에 내수 회복 전망 “잠재성장률 이상 성장 ”
Read more »
“인구 줄면 나라 없어진다던데”…한국 인구 50만명 쪼그라들었다2023년 전체 인구 5133만명 저출산에 3년새 50만명 급감 1인가구 급증해 1000만 육박
Read more »
지금이 인구부 출범 '골든타임'… 국회서 적극 협조해달라10일 임산부의 날 … 유혜미 저출생대응수석 인터뷰육아지원3법은 시작일 뿐저출생 총괄할 컨트롤타워이번 정기국회내 처리해야尹정부 건전재정 기조에도저출생 예산은 22% 늘려현금살포 없이 구조개혁 매진
Read more »
“尹정부 저출생 예산 22% 늘려…인구부 출범하게 국회가 나서달라”10일 임산부의 날…유혜미 저출생대응수석 인터뷰 육아지원3법은 시작일 뿐 저출생 총괄할 컨트롤타워 이번 정기국회내 처리해야 尹정부 건전재정 기조에도 저출생 예산은 22% 늘려 현금살포 없이 구조개혁 매진
Read more »
백약이 무효?…GDP 3∼5% 저출산에 쏟은 유럽국가들 결국 실패(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출산율 저하에 따른 인구감소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면서 세계 각국이 앞다퉈 저출산 대책을 쏟아냈지만 '...
Read more »
韓, 세계 3대채권지수 편입…증시 밸류업도 속도내야 [사설]한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성공했다.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과 재정건전성, 자본시장 선진화에 대한 신뢰가 확인된 것으로, 지수 편입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채권시장을 넘어 한국 금융시장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진 만큼 WGBI 편입을 발판으로 주식시장 밸류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 WGBI 편입의 가..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