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유불급이다. 지난 5월 23일 1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체력단련 군기훈련을 받던 병사가 쓰러져 이틀 뒤 숨진 '훈련병 얼차려 사망' 사건에 대해 국방부가 내놓은 대책 말이다. 사실상 가혹행위라고 볼 수밖에 없는 체력단련을 명령한 중대장과 부중대장은 '업무상과실치사' '직권남용가혹행위' 혐의로 구속돼 처벌을 앞두고 있다. 당시 벌어진 비인간적인 행태를 보면 ..
사실상 가혹행위라고 볼 수밖에 없는 체력단련을 명령한 중대장과 부중대장은 '업무상과실치사' '직권남용가혹행위' 혐의로 구속돼 처벌을 앞두고 있다. 당시 벌어진 비인간적인 행태를 보면 일부에서 '고문치사' 혹은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비난하는 것도 충분히 이해된다. 이 사건의 본질은 규정을 어기고 임의대로 더 나아가 감정이 섞인 상태에서 명령을 내린 것이다. 따라서 대책은 훈련 규정을 준수하고 지휘권을 공명정대하게 행사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했다.
군이 이번 기회를 '과학기술군'으로 도약하는 계기로 삼으려는 큰 그림인가 하는 삐딱한 생각을 억누르며 국방부가 신병 체력단련을 겁내는 이유가 도대체 무엇일까 궁금해 찾아봤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1월 10일 공개한 '2023 국민생활체육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대의 체육 참여율은 47.9%에 불과했다. 군 복무를 하기 위해 입소한 20대 초반 청년들의 상당수가 중·고등학생 시절에 운동과 담을 쌓고 지냈다는 얘기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신병교육대 훈련병에 ‘얼차려’ 못한다···팔굽혀펴기, 걷기, 앉았다 일어서기 ‘금지’신병교육대(신교대) 훈련병에 대한 군기훈련 목적의 체력단련(일명 얼차려)이 금지된다. 앞으로 육군 신교대에서는 대대장의 허가가 있어야 군법교육 등 정신수양 교육을 할 수 있다...
Read more »
훈련병에 ‘완전군장 구보’ 이젠 못시킨다…‘체력단련 얼차려’ 금지신병교육대 사고 대책회의 일선 부대서 군기훈련 땐 중대장 이상급 승인 필요
Read more »
[충무로에서] 조삼모사 멤버십 개편지난 4월 쿠팡이 '와우' 멤버십 가격을 월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인상한 이후 유통업계에선 때 아닌 멤버십 전쟁이 벌어졌다. 네이버·신세계·롯데 등이 잇달아 멤버십 가격을 인하하거나 기간 한정 무료 이벤트를 내놨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절대 강자 쿠팡이 단번에 50% 넘게 가격을 올렸으니, 이탈하는 소비자들을 잡겠다는 노림수다. 하지만 유통업체들이..
Read more »
[충무로에서] '법대로'가 '오만'으로 느껴질 때22대 국회에서 여야 의원들이 함께하는 '한국 경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모임'이 국회 연구단체로 새롭게 등장했다. 21대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활동했던 글로벌 기업 경쟁력 강화 의원 모임이 모태다. 해당 모임에 국민의힘 의원들도 가세했고 의제도 글로벌 기업 대상에서 한국 경제 전반으로 넓혔다. 이들은 국내 기업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Read more »
[충무로에서] 사과값이 중요해진 이유최근 당정이 밝힌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의 핵심은 장바구니 물가 안정이다. 체감물가 안정 시금석으로는 사과가 있다. 지난해 이상 기후 직격탄에 가격이 급등하며 금(金)사과 논란이 불거졌는데, 당분간 고공행진이 이어질 것 같다.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농산물 가중치는 3.8%로 높지 않다. 다만 체감 물가에 주는 영향은 상당하다. 국민이 자주 사는 144개 품목으로..
Read more »
부총리의 반성문 “사과 40년만의 흉작, 다 알았는데”…이젠 근본 처방 실천할 때 [충무로에서]최근 당정이 밝힌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핵심은 장바구니 물가 안정이다. 체감물가 안정 시금석으로는 사과가 있다. 지난해 이상 기후 직격탄에 가격이 급등하며 금(金) 사과 논란이 불거졌는데, 당분간 고공행진이 이어질 것 같다.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농산물 가중치는 3.8%로 높지 않다. 다만 체감 물가에 주는 영향은 상당하다. 국민이 자주 사는 144개 품목으로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