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의원 "억강부약의 정신으로 위기학생 지원법 1호 법안으로 발의"
특수교사, 교육전문직, 중등특수교육학과 교수에 이어 대한민국 국회의원 배지를 단 강경숙 의원은"우리 사회 격차 해소가 내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또한 위기학생 증가를 우려하며 1호 법안으로 '정서 행동 위기학생 지원법' 제정을 약속했다.
그는"학교 내에 문제행동 학생에게 긍정적 행동지원을 할 수 있는 전문가가 부재하기 때문에 이들 학생에 대해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할 수 없다"며"이들 전문가가 학교에 상주하고, 교사과 함께 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미래 세대를 위해, 교육선진국을 지향하며 교사와 학부모가 힘과 지혜를 합치고 교육의 새 틀을 만들 시기"라며"교사는 학부모의 의견을 경청하고, 학부모는 교사의 전문성을 존중하는 풍토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윤석열 대통령이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왜 특검을 거부했나요. 뭔가 숨기고 싶은 것이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채 상병과는 특별한 인연이 있습니다. 제가 재직했던 원광대학교에 다니던 제자였으며, 또 고향 후배입니다. 그래서 정말 남의 일 같지 않습니다.
개천에서 용나는 세상은 끝났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정 형편이 어려운 아이, 다문화가정의 아이, 장애를 가지 아이 등 우리 사회에서 소외된 아이들도 골고루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희망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억강부약이 저의 정신입니다. 앞으로 이런 아이들이 있는 곳으로 열심히 찾아 다니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진심으로 실천해 나가겠습니다.""학생들의 행동문제 전문가가 학교 안에 없습니다. 그렇다보니 학교에서 위기학생의 지도를 위한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습니다.그리고, 법 제정으로 교육당국이 위기학생의 현황을 파악하고, 사회성 훈련과 관계성 훈련 등 종합적인 처방을 내릴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이는 학생지원법일 뿐만 아니라, 이들 학생으로 인해 소진, 탈진되는 교사들의 지원법이기도 합니다. 법안 기초를 마련해 둔 상태입니다. 6월 안으로 토론회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다듬어나갈 계획입니다.
하지만 법만으로 해결될 수 없습니다. 줄세우기식 경쟁교육에서 탈피하는 교육개혁이 필요합니다. 문제 하나 틀리면, 대학이 달라지는 무한 경쟁교육 시스템에서 학부모는 자녀의 좋은 대학 진학을 위해 혈안이 될 수밖에 없고, 내 아이만을 위하는 그런 태도와 문화가 교권 침해로 이어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제 주변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장애 가족,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과 공감을 나누면서 그들의 아픔에 민감하게 된 것 같습니다. 그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된 것이 특수교육 분야로 들어오게 된 가장 큰 이유와 계기입니다.""불법 녹음이 증거로 인정돼 아쉬움이 큽니다. 이런 흐름 때문에 학교 내 불법 녹음이 늘어나고, 공교육이 위축되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교사들이 자연스레 교육활동에 소극적으로 임하게 되는 학교 분위기는 학교 현장을 더 삭막하게 만들지 않을까 우려스럽습니다.
사립학교는 특수학급이 부족하다 보니, 맞춤형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이 일반 학급에서 교육을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 기간제 교사가 많아서 6개월 또는 1년마다 교사가 바뀌어 학생들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력과 예산 확보 등 교육환경의 개선이 반드시 이뤄져야 합니다.""과거에 교사는 학교 교육의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 학부모 또한 교사의 권위를 상대적으로 높게 존중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교사의 의견이 큰 영향력을 미쳤고, 학부모는 교육의 과정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기보다는 교사의 지도를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교사와 학생 관계에서도 교사의 지시와 가르침이 권위적이며 엄격한 면이 있었습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정보유출' 화난 교원단체들 '정보수집 AI교과서 재검토하라''AI 교과서' 연수과정에서 터진 사건에 강경숙 당선인 등 "교육부장관 사과" 요구
Read more »
이주호, 학생 데이터 풀며 '민간협력'... 정치권 '사교육 조장''학업성취도평가 데이터 개방' 방안에 강경숙 "사교육 부추기기", 백승아 "사교육 팽창"
Read more »
'13만원 식사' 이어 고급호텔 '1인1실'... AI교과서 '호화 연수'[제보] 교육부발 'AI교과서 예산' 낭비 논란... 연수 받는 관리자도 "돈 잔치" 걱정
Read more »
대통령 거부권에 분노한 시민들 “이제 우리가 저항권 행사할 때”‘거부권 통치’ 거부한 시민들 “남은 3년도 절망뿐, 이제는 투쟁 나서야”
Read more »
이재정 '윤석열 외교 2년, 한국을 '주변인' 만들어'[이영광의 거침없이 묻는 인터뷰]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Read more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나도 할 수 있을까[인터뷰] 뜨거운 문제 의식으로 냉정하 연구하는 방법 알려주는 플랫폼 '나이오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