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K팝을 왜 좋아하는지 알아? 나를 좋아해주는 기분이 들거든.” 영화 에 열혈 K팝 팬 캐릭터로 등장하는 ‘데드아이’의 대사다. K팝은 애정을 주고받으며 ...
“내가 K팝을 왜 좋아하는지 알아? 나를 좋아해주는 기분이 들거든.” 영화 에 열혈 K팝 팬 캐릭터로 등장하는 ‘데드아이’의 대사다. K팝은 애정을 주고받으며 국경을 초월한 인기와 영향력을 쌓아 왔다. 이 상호작용은 K팝을 하나의 음악 장르를 넘어 문화로 명명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이 애정에 실망과 답답함이 스며들었다. 좋은 음악과 문화에 대한 고민으로 채워져야 할 자리에 주가조작, 인수·합병 같은 자본의 언어가 침입한 후부터다. 이번 하이브의 경영권 분쟁은 그동안 막연하게 감지해 온 K팝 위기론의 실체를 보여줬다. 내부 감사로 조용히 처리해야 할 사안을 일방적으로 터트리고 자극적으로 받아치는 모습에서, 무의미한 여론전에 아티스트를 끌어들이는 비겁함에서 자본 규모는 나날이 커지고 있지만 위상에 맞는 자질은 갖추지 못한 K팝 산업의 지체와 해로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는 방만 경영이다. 하이브 박지원 대표이사는 얼마 전 열린 1분기 경영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이 상황을 멀티레이블 체계의 “시행착오”라 표현했다. 민희진 어도어 대표와 수천억원이 걸린 주주 간 계약을 맺으면서 본인만 믿고 사인하라고 해 갈등의 불씨를 키운 잘못도 그 시행착오에 포함된 건지 궁금하다. 증권가는 멀티레이블 체계 고도화 과정에서 벌어진 단기적 성장통이라며 하이브에 유리한 평가를 내린다. 그러나 성장통이 아니다. 시가총액 상위 48위인 대기업의 과실을 그렇게 정의해선 안 된다. 이 사안으로 시총 1조여원이 증발하며 국민연금도 손실을 봤다.
하이브의 멀티레이블 리스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조여원을 들여 인수했지만 저스틴 비버 등 핵심 IP가 떠나며 적자를 보고 있는 하이브아메리카의 재정 문제, 손해만 보고 끝난 SM 인수전까지 하나로 묶어 살펴야 한다. 조 단위의 헛발질이 계속되는 동안 유동부채는 늘어나고 현금 흐름은 악화됐다. 방시혁 의장의 경직된 리더십도 문제다. 경영에 뜻이 없다며 뮤지션의 정체성을 강조해 왔지만, 실상은 ‘의장’이라는 마법의 감투를 쓰고 회사를 쥐락펴락하는 모습이 민 대표의 기자회견으로 드러났다. 이쯤 되면 자연스럽게 질문하게 된다. 하이브는 멀티레이블 체계를 감당할 수 있는 걸까.
자극적인 여론전에 방탄소년단을 끌어들인 것에 대한 팬들의 항의도 눈여겨봐야 한다. 하이브의 전신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시절부터 함께한 팬 연합이 “하이브가 아닌 방탄소년단을 지지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주요 일간지에 싣고, 사옥 앞에 근조화환을 세웠다. 가장 관계가 깊은 팬덤마저 등을 돌린 엔터테인먼트 기업을 과연 누가 신뢰할 수 있을까. 많은 이들에게 전화로, DM으로 하이브 경영권 분쟁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 하이브 소속 한 아티스트의 팬은 “내가 수십장의 음반을 구입해 회사가 벌어들인 수익이 경영진의 이권 다툼에 쓰이는 상황이 허무하고 씁쓸하다”고 말했다. 한 아이돌 지망생은 “아티스트를 희생양 삼는 모습을 보며 오랫동안 꿈꿔온 무대가 물렁물렁해지는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음반 밀어내기와 환경 파괴 등 업계의 부조리를 폭로한 민 대표의 기자회견이 화제가 되며, K팝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한 대중의 의견도 폭발적으로 쏟아졌다. 그래서 K팝에 망조가 든 걸까. 나는 칭찬만 들으며 덩치를 불린 K팝 산업이 이제야 건강하게 성장할 발판을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하이브 경영권 분쟁의 의미가 도파민을 자극하는 부자들의 난타전에서 끝나지 않게 하려면, 앞으로 더 많이 더 치열하게 이야기되어야 한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예술과 오늘]K팝을 사랑하는 의원 당선인께문화산업을 흔히 굴뚝 없는 산업이라 부르지만 K팝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K팝 산업은 굴뚝이 너무 많습니다. 업계 1위인 하이브의 총매출액은 코스피 상장 첫해인 2020년엔 8...
Read more »
[예술과 오늘]예술로 품은 304명 이름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가 벌어졌다. 단원고등학교와 지척인 경기도미술관은 슬픔을 함께 나누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장소가 됐다. 주차장에는 희생자들을 기리는 합동분향소가...
Read more »
[예술과 오늘]하지도 않은 말과 ‘와전’“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인생을 낭비하지 말라는 의미로 종종 언급되는, 영국의 극작가이자 사회비평가 조지 버나드 쇼의 묘비명으로 알려진 말이다. 하지만 묘비명 ...
Read more »
'가까와'가 맞는지 '가까워'가 맞는지 헷갈리지 않으려면불규칙 용언의 활용 양상을 알아 두면 좋습니다
Read more »
“내가 당신이라면 장국영처럼 했을 것”…양조위 저격한 홍콩 유명감독, 왜?홍콩 유명 배우인 왕조위가 영화 감독으로부터 은퇴요구를 받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61살의 나이로 홍콩금상장영화제에서 여섯 번째 남우주연상을 받은 양조위에게 홍콩 영화 감독 왕정(69)이 “젊은 세대를 위해 물러날 때가 됐다”며 사실상 은퇴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그의 이같은 발언은 양조위가 2023년 영
Read more »
[관점의 관점+] 내가 오늘 투표하면, 세상은 어떻게 달라질까 | 뉴스레터오늘 신문 리뷰,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