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북한, 남북 관계, 통일과 같은 문제를 논할 때 ‘소망(所望)’만을 말하고 ‘힘(권력)’의 문제를 배제하면 비현실적인 논의에 그치기 쉽다. 결국 우리가 아무리 열망해도 남북 관계 개선은 북·미 관계 개선 없이는 힘든 게 현실이다. 그리고 북·미 관계의 개선은 한·미 관계가 얼마나 긴밀해지느냐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 선데이 칼럼,북한,문제,남북 관계,국가들 관계,북한 문제,통일,OPINION
요즈음 북한 문제 가 다시 논란의 주제로 부상했다. 어느 정치인이 통일을 포기해야 남북 간에 평화 공존이 가능하다고 주장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과연 우리는 2024년 현시점에서 북한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세 가지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우리가 통일 논의를 포기하면 북한도 안심할 것이고, 그래서 평화가 올 것이라는 주장은 문제의 근본 원인을 잘못 짚은 것이다. 왜냐면 한반도 위기의 본질은 남측의 통일 논의가 아니라 북한의 통치 방식과 체제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점이기 때문이다. 북한이 지금처럼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시장 논리를 무시한 채 자력갱생을 고집하는 한, 북한 주민들의 삶은 더욱 어려워지고 불만은 고조될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30~40배나 더 잘 사는 민주주의 국가, 한국이 휴전선 바로 남쪽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북한의 권력자들에게는 위협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 그러한 위협감은 우리가 아무리 통일에 관심 없다고, 그러니 2국가 체제로 평화 공존하자고 외쳐도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념할 일은 북한 문제의 가장 일차적인 당사국은 한국이지만, 북한 문제는 이미 국제적인 문제가 되어버렸다는 점이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에 핵탄두를 장착해 미국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기 시작한 순간, 북한은 미국의 심각한 안보 문제가 되어버렸다. 그러한 북한 문제의 국제적 차원은 무시한 채, 남북끼리만 잘하면 평화가 온다는 것은 큰 오산이다.
북한 문제 남북 관계 국가들 관계 북한 문제 통일 OPINION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손병관의 뉴스프레소] 한 달 남은 선거법 수사, 누가 살아남나9월 10일... 실외 커피 배달로봇의 등장, 어떻게 볼 것인가
Read more »
어떻게 기어갈 것인가 [김탁환 칼럼]‘장일순 평전’을 읽다가 ‘바닥으로 기어라’라는 대목에 오래 머물렀다. 장일순은 하심(下心)을 놓쳐서는 안 된다면서, 할 수만 있다면 아래로 자꾸 내려가야 한다고 권했다. 말년에 사용한 ‘장서각’(張鼠角)이란 호에는, 쥐뿔도 없는 사람이며 거지와도 같다는 뜻이 담겼다.
Read more »
[선데이 칼럼] 미 대선 누가 돼도 불편한 중국, 한국은?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피벗으로 환율 불안 등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은 커질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혁명 가속화, 지정학적 도전 등 글로벌 대변혁 시대의 파장은 올해 미 대선을 기점으로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민주당 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TV 토론에서 약진해 유리한 판세를 만들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 2차 암살 시도 여파로 40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 판도를 가늠하기 더욱 어려워졌다.
Read more »
[선데이 칼럼] 부정조차 접어두고 고독과 싸웠던 김영삼과 김대중문재인 전 대통령이 결국 검찰의 수사 선상에 오르면서 전직 대통령들의 잔혹사가 재소환되고 있다. 문 전 대통령은, 대선 캠프에서 자신을 도운 이상직 전 의원이 실소유주이던 타이이스타젯이 문 전 대통령 사위 서모씨를 채용해 2억2300만원 가량을 제공한 것이 뇌물에 해당한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지금쯤 의혹은 국민들 기억에서 사라졌을 것이고, 검찰 압수수색 영장에 문 전 대통령이 뇌물수수 혐의의 피의자로 적시되는 일도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Read more »
[선데이 칼럼] AI시대 흥할 나라와 쇠퇴할 나라열흘 전 엘베강이 북해와 만나는 독일 함부르크 강변에 자리 잡은 함부르크 AI 센터(ARIC)에서 AI 안전 워크숍이 열렸다. 하지만 이 도크랜드에서 개최된 AI 안전 워크숍에서 본 유럽 AI 실상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AI의 혁신적 실험을 세계적으로 선도하겠다는 생각과는 거리가 멀었다. 인류의 산업화 역사에서 기존 산업이 쇠퇴할 때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는 국가는 흥하고 기존 산업을 지키려고 하는 국가는 쇠퇴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Read more »
‘의료대란’ 대표회담 의제 여부 두고 여야 이견···이재명 “생명·건강에 관한 문제를 어떻게 외면하나”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여당이 ‘의료대란’ 문제를 대표회담 의제에 올리지 않으려는 데 대해 “먹고 사는 문제 중에 더 중요한 게 사는 문제다. 생명·건강에 관한 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