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대란 조짐이 짙어지면서 정부가 2일 군의관·공중보건의 250명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응급환자·구급대원들의 ‘뺑뺑이’ 아우성과 여야 경고에도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브리...
응급실 대란 조짐이 짙어지면서 정부가 2일 군의관·공중보건의 250명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응급환자·구급대원들의 ‘뺑뺑이’ 아우성과 여야 경고에도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브리핑에서 “비상진료 체계가 원활하게 가동되고 있다”고 자신했던 게 불과 나흘 전이다. 군의관·공보의가 떠나는 보건소와 군 의료 대책은 마련하고 ‘의사 돌려막기’에 나선 것인가. 정부가 현장 실상을 잘 몰랐던 것인지, 의·정 대치 주도권을 쥐려 애써 외면했던 건지 우려스럽다.
정부의 응급의료 대책은 지방은 물론 수도권 일부 대형병원까지 응급실 진료 차질이 확산되자 긴급 가동된 걸로 보인다. 전공의 이탈로 응급실 근무 의사 수는 정부 추산으로도 평시 대비 73.4%에 불과하다. 이런 탓에 세종충남대병원·강원대병원 등 지방에선 야간에 응급실 문을 닫는 곳이 나타났고, 서울의 국립중앙의료원·이대목동병원 등도 제한된 응급실 운영을 검토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민심의 체감이다. 응급실을 10군데 넘게 뺑뺑이 돌고도 치료를 받지 못했다거나 “응급실을 찾지 못해 심정지 처할 위기”라는 다급한 호소들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범정부적 가용 자원을 총동원’한다지만, 대책이란 게 결국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군의관·공보의 돌려막기였다. 진료지원 간호사와 촉탁 채용을 통해 인력 보강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정도 임시방편으로 응급실 진료 차질이나 추석 연휴 의료대란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당장 공보·군의관이 떠난 곳의 응급 의료 사정은 더 나빠질 우려가 크다. 보건소는 의료 서비스가 취약한 지방이나 저소득층에게는 마지막 보루와 같은 곳이다. 국민들은 우왕좌왕하는 정부를 보면서 불안감이 크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3일 국회 예산결산특위에서 “대통령께서 응급의료 상황 파악도 안 되고 ‘잘되고 있다’는 보고만 받은 게 절대 아니다”라고 했으나, 신뢰는 이미 크게 떨어졌다. 정부가 현실과 유리된 채 의·정 갈등 사태를 바라보고 있으니 해결 기미 없이 지지부진 시간만 흘러보낸 것은 아닌가.
정부는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르도록 안일했던 실책부터 사과하고 의료계와 대화에 나서 다급한 불부터 꺼야 한다. 의사들도 병원들이 휴진하는 추석 연휴 기간만이라도 비이성적 치킨게임을 멈추고 현장에 복귀하길 바란다. 어떤 경우라도 국민 생명과 직결된 응급의료가 무너지는 상황만큼은 막아야 한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응급실 붕괴론' 반박나선 정부 '전체 응급실 99% 24시간 운영'(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응급실 붕괴론'이 나올 정도로 전국에서 응급실 위기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자 정부가 대부분의 응급실이 24시간...
Read more »
[현장영상+] 박민수 '응급의료 일부 어려움 있지만 붕괴 우려할 상황 아냐'[앵커]의정 갈등이 장기화하고 추석 연휴까지 다가오면서 응급실 과부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 속에 정부가 오늘부터 응급실 현황에 대해 매일 브리핑을 진...
Read more »
정부 응급의료 대책, 응급실 경증환자 본인부담 비용 인상··· 현장 “경증 환자 안 줄 것”정부가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올려 인력 충원을 유도하고, 경증 환자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할 시에 진료비 본인부담분을 인상하기로 했다. 응급실 과부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Read more »
푸틴, 몽골 도착…크렘린궁 “ICC 문제 정상회담서 논의 없다”지난해 3월 국제형사재판소(ICC) 체포 영장이 발부된 뒤 영장 집행 의무가 있는 ICC 회원국을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우크라이나는 몽골을 방문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국제형사재판소(ICC) 체포영장을 집행해달라고 몽골 정부에 요청했다. 지난 30일 AFP통신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이날 '몽골 정부가 푸틴 대통령이 전범이라는 사실을 알길 바란다'며 '구속력 있는 국제 체포영장을 집행해 푸틴 대통령을 ICC로 이송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Read more »
‘묶인 환자 사망’ 병원에 부천시 보건소 “문제 없다”30대 여성 환자가 다이어트 약 중독 치료를 위해 입원했다가 강박 된 채 17일 만에 사망한 부천더블유(W)진병원에 대해 관할 감독기관인 부천시 보건소가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보건소 쪽 관계자와 면담을 한 정신장애인 당사자 단체 대표들은 “무책임할 뿐
Read more »
'대출규제 강화로 금리인하 따른 집값 불안 잡을 수 있어'전문가 내수 활성화 진단금리 낮춰야 주택공급도 숨통침체·부동산 문제 동시 대응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