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디지털과 인공지능(AI)이 우리 삶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2024년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AI 전문가들이 석권한 것은 AI 중심 시대 진입의 신호탄이다. 특히 AI가 점점 더 발전하고 대중화되면서 우리는 이 기술을 단순한 도구로 보는 것에서 벗어나 마치 친구처럼 활용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필자는 올해 2월 26일부터 온라인상에서..
오늘날 디지털과 인공지능이 우리 삶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2024년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AI 전문가들이 석권한 것은 AI 중심 시대 진입의 신호탄이다. 특히 AI가 점점 더 발전하고 대중화되면서 우리는 이 기술을 단순한 도구로 보는 것에서 벗어나 마치 친구처럼 활용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필자는 올해 2월 26일부터 온라인상에서 '디지털 AI 상록수' 운동을 펴고 있다. 국민 누구나 정보 격차 사각지대 속에 놓이지 않도록 돕자는 취지다.가장 먼저 AI는 진실의 수호자 역할을 한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빠르게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자다. 현재 사이비 유튜브 영상이나 가짜 뉴스가 빠르게 퍼져 사회적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허다하다. 하지만 AI는 실시간으로 팩트체크를 할 수 있어서 거짓 정보가 퍼지는 속도를 줄이고, 국민이 더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게 도와준다.
나아가 AI는 정치인들의 발언을 감시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선거철이나 중요한 사회적 사안이 있을 때 일부 정치인은 종종 과장되거나 모호한 발언을 통해 대중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그러나 AI가 실시간으로 그들의 발언을 분석하고, 그 진위를 국민에게 알리면 정치인은 더 이상 대중을 속이거나 선동할 수 없다. AI는 정치인의 과거 발언을 추적하고, 그 발언의 진실 여부를 순식간에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권자는 감정적인 반응보다 더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정치적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결국 대중의 정치적 성숙도가 높아지고, 선동에 휘둘리는 일은 줄어든다.
또한 국민의 '편 가르기' 상황이 개선된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이념·세대·진영·빈부·지역 등 다양한 문제를 놓고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AI는 이런 갈등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AI가 중재자 역할을 하게 되면, 우리는 더 이상 편을 가르는 갈등 속에서 살아가지 않게 된다. 또한 선동형 정치인의 종말을 볼 것이다. AI의 가장 큰 사회적 역할 중 하나는 정치적 투명성의 확보다. AI가 정보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시대가 오면 국민은 더 이상 속지 않고, 신뢰할 수 있는 정치인만을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결국 AI와 함께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 사용자가 AI를 알라딘 지니 램프 같은 집사로 활용하면서 사회 전체의 이익을 증가시킨다. AI의 대중화는 우리 사회에 깊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AI는 단순히 기술적 도구로 머무르지 않고 우리 사회의 진실을 지키고, 갈등을 완화하며, 정치적 투명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AI와 친구가 되는 것은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서 우리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I와 함께하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우리는 더 공정하고, 투명하며, 신뢰할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시작이 반? 'AI작'은 반 이상!Cover Story 일상 속 AI와 동행 나선 MZ
Read more »
[매경춘추] AI시대, 인간의 역할론인공지능(AI)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미래 노동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단순 업무부터 고도의 지적 능력이 필요한 분야까지 AI가 인간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쏟아진다. 하지만 AI 시대에도 인간만의 영역은 분명히 존재한다. 특히 스포츠와 인플루언서 분야는 인간 고유의 특징이 미래 주도권 확보에 필요한 경쟁력임을 보여주고 있다. 스포츠는 단순한 ..
Read more »
[매경춘추] 약, 그리고 사회신약의 개발은 곧 인류의 진보와 연결된다. 전통 의학에서 사용하는 새로운 약초의 발견, 19세기 페니실린과 같은 항생제와 아스피린의 발견, 최근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약물이나 신기술이 적용된 전자약 개발까지…. 그 시작은 생물학적 효과와 신체적 치료를 위해 등장했지만, 인간 삶의 질을 개선하고 수명 연장에 도움을 주는 등 우리 사회에 다양한 파..
Read more »
[매경춘추] 中 수능의 사회상과 경제적 효용한국의 수능 시즌이 돌아왔다. 중국의 수능인 가오카오(高考)는 6월이지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공평한 신분 변화의 길이다. 중국의 2024학년도 가오카오 응시자는 사상 최대인 1342만명으로, 2019년 이후 6년 연속으로 1000만명을 넘었다. 2000~2017년 출산율로 보면 응시자 수 1000만명은 10년 정도는 유지될 것으로 본다. 중국에선..
Read more »
[매경춘추] AI의 거센 파도 앞에서지난 9월 26일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세계 3대 인공지능(AI) 강국을 목표로 출범했다. 전 세계는 지금 미국을 중심으로 AI 패권을 두고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현재 AI의 기본 모델인 LLM(대형언어모델)과 그것을 구동하는 데이터센터, 양질의 고유 데이터를 갖춘 나라는 미국·중국·한국이 거의 유일하다. 그런 점에서 현재 LLM 능력 기준으로 세..
Read more »
[매경춘추] 중국 경제를 보는 다른 시각개인적으로 경제를 보는 것은 마치 자연경관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자연은 예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보지만, 경제는 변하면서 사람들의 이익에 영향을 준다. '봉우리는 원근 고저에 따라 달리 보인다(橫看成嶺側成峰, 遠近高低各不同)'라는 소동파의 시처럼, 중국 경제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견해가 다른 것은 당연하다. 과거 중국 경제의 경쟁력은..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