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수능 시즌이 돌아왔다. 중국의 수능인 가오카오(高考)는 6월이지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공평한 신분 변화의 길이다. 중국의 2024학년도 가오카오 응시자는 사상 최대인 1342만명으로, 2019년 이후 6년 연속으로 1000만명을 넘었다. 2000~2017년 출산율로 보면 응시자 수 1000만명은 10년 정도는 유지될 것으로 본다. 중국에선..
한국의 수능 시즌이 돌아왔다. 중국의 수능인 가오카오는 6월이지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공평한 신분 변화의 길이다. 중국의 2024학년도 가오카오 응시자는 사상 최대인 1342만명으로, 2019년 이후 6년 연속으로 1000만명을 넘었다.중국에선 주요 명문대학을 '985'라고 하며, 100명 중 1~2명꼴로 들어가게 된다.
최고 양대 명문인 베이징대와 칭화대의 입학 정원은 합해서 6500명이니, 전체 수험생의 경쟁률은 2064대1이다. 전국의 현급 도시는 2873개인데, 대도시 쿼터를 빼면 지방에서는 3개 현마다 1명 정도, 또 1만4600개 고교 중 2~3개 학교마다 1명 정도가 두 최고 대학에 들어가는 셈이다. 그래서 지방에서는 합격만 하면 현지 정부와 모교에서 주는 장학금과 후원금으로 학비 걱정은 하지 않는다고 한다.베이징대 입학 정원은 매년 조정 공시되는데 대략 베이징 550명, 허난성 400명, 상하이 220명, 윈난성 100명, 닝샤후이족자치구 70명 등이다.아마 이런 지역에 대한 배분 없이 성적만 보고 뽑으면, 베이징대는 아마도 베이징과 상하이 출신들이 절반은 차지할 것이다.전체 대학 정원이 계속 늘어난 덕분에 2023년엔 4년제에 47%가 합격했다.
중국에서는 이전에는 보통 대학의 졸업자가 가던 일자리에 지금은 985급 대학 졸업생이, 985급이 잡던 기회를 지금은 사대라 불리는 청북복교 졸업생들이 몰린다. 민영 기업도 불경기이니까, 소위 체제 내인 공무원과 공기업에 더 몰린다. 그 커트라인도 더 높아져만 가니,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학력을 더 높이고 더 많은 걸로 포장하는 경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매경춘추] 한국 보험산업의 과제암스테르담의 한 공공장소에서 휴대전화 충전을 위해 전기 플러그 사용을 요청했더니, 공공전기의 사적 사용은 불가하고, 필요하다면 요금을 지불하라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공공기관의 다양한 혜택을 누리는 상황과는 대조적이었다. 이러한 경험은 공정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 최근 국제사회는 급격한 변화와 다양한 위기에 대응하고자 혁신과 개선에 최..
Read more »
[매경춘추] AI의 거센 파도 앞에서지난 9월 26일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세계 3대 인공지능(AI) 강국을 목표로 출범했다. 전 세계는 지금 미국을 중심으로 AI 패권을 두고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현재 AI의 기본 모델인 LLM(대형언어모델)과 그것을 구동하는 데이터센터, 양질의 고유 데이터를 갖춘 나라는 미국·중국·한국이 거의 유일하다. 그런 점에서 현재 LLM 능력 기준으로 세..
Read more »
[매경춘추] 직원의 CEO 평가작년 10월, 회사가 어려울 때 최고경영자(CEO)로 취임했다. 매출이 2년 연속 감소하고 있었다. 10년 먹거리를 만들겠다는 목표하에 '조폐가 산업이 되다'라는 어젠다를 세웠고, 화폐 제조 과정의 위·변조 방지기술과 압인·세공기술을 활용해 정보통신기술(ICT)·문화·수출기업으로 사업 전환을 서둘렀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소통을 강화하..
Read more »
[매경춘추] 중국 경제를 보는 다른 시각개인적으로 경제를 보는 것은 마치 자연경관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자연은 예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보지만, 경제는 변하면서 사람들의 이익에 영향을 준다. '봉우리는 원근 고저에 따라 달리 보인다(橫看成嶺側成峰, 遠近高低各不同)'라는 소동파의 시처럼, 중국 경제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견해가 다른 것은 당연하다. 과거 중국 경제의 경쟁력은..
Read more »
[매경춘추] 시골 촌놈어린 시절의 기억을 회상하다 보면 문득 시 한 구절이 입에서 새어 나온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시인 정지용의 '향수' 속 마지막 구절이다. '향수'는 정지용 시인이 1923년 일본에서 유학 생활을 할 때 고향을 그리워하며 쓴 시라고 한다.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
Read more »
[매경춘추] 확성기 소음 유감저녁 약속이 있어 이르게 나선 퇴근길에 확성기를 통해 귀에 익은 운동가요가 들려왔다. 대로 건너편 한 대기업이 입주한 건물 쪽에서 나오는 확성기 노랫소리였다. '친구여, 가자 가자 자유 찾으러….' 대학 시절 많이 들어 귀에 익숙한 운동가요가 이번에는 전혀 정겹지 않고 귀만 괴로울 따름이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즐거운 퇴근길에 원치 않는 노래를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