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나이키 글로벌기업지역문화 산업 생태계 구축전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가부산 모모스·울산 복순도가스토리와 문화 신수요 창출소상공인 미래 로컬에 달려
소상공인 미래 로컬에 달려 글로벌 커피 브랜드 스타벅스는 1973년 미국 시애틀의 한 골목상권에서 출발했다. 처음에는 커피를 팔지 않고 커피원두만 팔았다. 그러던 중 하워드 슐츠라는 뉴욕 출신 사업가가 커피 산업의 미래를 보고 스타벅스를 인수하면서 대전환을 맞는다. 슐츠가 주력했던 것은 두 가지였다. 문화를 조성하는 것과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지금 시애틀은 전 세계 커피 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나이키의 도시인 미국 포틀랜드는 세계에서 가장 창조적인 도시로 꼽힌다. 나이키가 제시한 창의성과 영감에 전 세계 크리에이터들이 포틀랜드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를 키워나갔고, '킨포크'라는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시켰다. 세계 최대 경제강국 미국이라서 가능했던 것일까. 종합가구 브랜드 이케아는 인구 1000만명의 스웨덴, 그것도 시골 마을 엘름훌트에서 작은 잡화점으로 시작했다. 지금은 세금 문제로 본사를 네덜란드로 옮겼지만, 이케아의 핵심 조직은 여전히 엘름훌트에 남아 이 지역을 가구 산업의 메카로 키우고 있다. 이들 글로벌 기업의 특징은 단순히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기만 한 게 아니라 한 도시에 지역 문화와 산업 생태계를 뿌리내리게 한 것이다.최근 옛 서울역사에서 로컬 크리에이티브를 주제로 한 전시회가 열렸다. 대전 성심당의 스토리에 가장 관심이 갔다. 스타벅스가 시애틀을 커피의 도시로 만들었듯이, 성심당은 대전을 빵의 도시로 만들었다. 지역을 대표하는 로컬 브랜드로서 스토리를 만들어가면서 이제는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까지도 빵 마니아라면 대전을 찾아오게 만드는 '글로컬' 커뮤니티를 정착시켰다.
최근 정부는 글로컬 상권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전북 전주, 경기 수원, 경남 통영을 비롯한 8곳을 선정해 로컬 크리에이터 육성, 자금 지원 등을 하기로 했다. 세계인이 찾는 우리 동네 브랜드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다. 국내 소상공인의 미래는 결국 로컬에 달렸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자네 따위가 감히 벤츠·포르쉐를”…한국인이 더 조롱하던 이 차, 이젠 ‘車 한류’ 주역 [세상만車]한국인이 더 심하게 비난, 통쾌한 반전 7년만에 글로벌 시장서 100만대 판매 ‘한국인 성향’이 제네시스 경쟁력 비결 “가장 한국적인 게 가장 세계적” 입증
Read more »
'글로벌 환경규제 넘자' … 수출경쟁력 강화 머리 맞대한국환경산업기술원,ESG 민관합동협의체 개최ESG 역량, 수출 경쟁력 직결이차전지, 자동차, 화학 등맞춤 지원 생태계 강화
Read more »
오렌지스퀘어, 코스닥 상장 추진…주관사에 한국투자증권 선정외국인 전용 선불카드 와우패스 흑자 기반 무인 환전 키오스크 200여대…독보적 경쟁력
Read more »
식품제조·농산업 중소기업 육성…K-푸드 글로벌 경쟁력 강화(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중소벤처기업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삼성전자, 농협중앙회와 손잡고 K-푸드와 연관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통해...
Read more »
[매경데스크] AI 정치인 실험뉴질랜드에 등장한 AI 파커'공정한 의사결정에 도움'유럽인 51% 'AI 대체' 찬성한국 국회 경쟁력 고민해야
Read more »
[단독] 현대차그룹, 전기차에 佛발레오 부품 검토전기차 핵심 '열관리시스템'공급망 넓혀 경쟁력 제고한온·두원·위아 이어 4파전2027년 관련시장 7조원 전망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