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의 에너지 부문 중간지주사인 SK이노베이션과 알짜 비상장사 SK E&S의 합병이 오는 17일 논의된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 모두 SK㈜가 각각 지분 36.22%, 90%를 보유한 최대 주주지만, 각사 주주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SK이노베이션 대 SK E&S의 합병 비율이 1대 2로 정해진다면, SK E&S 주주인 SK㈜와 KKR의 신설 합병 법인 지분율이 1대 1 비율 합병 때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SK그룹 의 에너지 부문 중간지주사인 SK이노베이션 과 알짜 비상장사 SK E&S의 합병이 오는 17일 논의된다. 각사 이사회가 이날 합병안을 승인하면 자산 100조원이 넘는 초대형 에너지 전문 기업이 탄생한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합병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SK에너지‧SK온 등 9개 자회사를 거느린 이노베이션은 정유‧석유화학‧윤활유 등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 기업으로, 보유 자산이 86조원에 이른다. SK㈜의 자회사인 SK E&S는 액화천연가스와 수소‧재생에너지 등이 주력으로, 자산 규모 19조원의 비상장사다.SK그룹은 두 회사의 합병을 통해 에너지 사업 시너지는 물론,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 SK온의 자금난 해소를 노리고 있다. SK그룹의 '캐시카우'로 손꼽히는 SK E&S는 지난해 매출, 영업이익 1조3300억원으로, SK이노베이션보다 수익성 면에서 뛰어나다. 합병시 SK E&S의 자금력으로 2021년 10월 출범 이후 10개분기 연속 적자인 SK온에 수혈할 여력이 생긴다. SK온은 지난해만 581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합병의 걸림돌은 주주 반발이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 모두 SK㈜가 각각 지분 36.22%, 90%를 보유한 최대 주주지만, 각사 주주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SK E&S는 비상장사지만 글로벌 사모펀드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을 설득해야 한다. KKR은 2021년부터 두 번에 걸쳐 3조원이 넘는 자금을 상환전환우선주를 통해 SK E&S에 투자했다. RCPS는 만기 때 투자금 상환이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만약 KKR을 설득하지 못하고 합병을 강행하면 상환권을 행사할 수 있는 2026년 KKR이 원금 등 3조3000여 억원에 대한 상환을 요구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부채 부담을 줄이고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합병 의미가 퇴색한다.특히, 상장사인 SK이노베이션 소액주주의 표심이 변수다. SK이노베이션 주주를 설득하려면 양사의 합병 비율을 최대한 비슷한 수준으로 조율해야 한다.
재계에선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 비율이 1대 2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상장사인 SK이노베이션 주가는 10만8100원 수준이다. 관건은 비상장사인 SK E&S의 가치 평가다. SK E&S는 2021년 상환전환우선주 409만주를 발행했는데 당시 우선주 1주당 발행가가 58만6182원이었다. 이를 보통주로 전환하면 절반인 29만3091원이다. SK이노베이션 대 SK E&S의 합병 비율이 1대 2로 정해진다면, SK E&S 주주인 SK㈜와 KKR의 신설 합병 법인 지분율이 1대 1 비율 합병 때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 SK이노베이션 주주 입장에선 지분 가치가 희석돼 반발할 수 있다.
‘불공정 합병’ 논란에 휘말릴 우려도 있다. SK E&S 지분 가치를 높게 평가할수록 최대주주인 SK㈜의 신설 합병 법인에 대한 지배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SK 관계자는 “이사회에서 합병안을 승인해도 SK이노베이션 주주총회를 넘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며 “양측의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라 합병비율을 얼마로 할 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쏟아지는 SK 사업재편안 … 손실 우려 주주들 반발에 '삐걱'배터리사 'SK온 구하기' 시나리오만 10여개벼랑끝 SK온 자금 확보 위해이노베이션·E&S 합병 검토합병비율 조율에 난항 예고SK엔무브는 2대 주주 난색SK온과 합병안 사실상 제동분리막 생산 SKIET 매각은실적부진에 인수후보 불투명
Read more »
中 통화정책 완화 소식에 코스피 상승…SK이노, SK E&S 합병 가능성에 급등 [이종화의 장보GO]美 증시 휴장에 변동성 낮아 코스피, 외인 순매수에 상승 SK이노, SK E&S와 합병설 하루 만에 16% 급등해 마감
Read more »
[단독] SK온에 '알짜' 트레이딩·엔텀 붙인다SK이노 배터리 승부수 … 이종 자회사간 합병 추진E&S와 합병 건과 함께 17일 이사회서 논의하기로
Read more »
황정민의 깜짝 발언... 초대형 예능 프로젝트 탄생 초읽기?[리뷰] 유튜브 채널 '뜬뜬' 토크 웹예능
Read more »
[단독] 한지붕 독립경영…조직 동요 막고 배임논란 피하기SK이노-E&S 통결합 배경혼란과 지연 시간 최소화머티리얼즈 합병때도 사용E&S 사업경쟁력 유지 가능SK온 자금 지원 여력 커져
Read more »
“재택 이젠 안돼, 법카도 싹둑”...군기잡는 SK온 ‘10분기 연속 적자’ 탈출 의지“2~3년 고비 넘겨야 생존” 창립 후 10분기 연속 적자 올 하반기 흑자전환 목표 영구채 발행 통해 자금조달 E&S 합병 땐 자금수혈 숨통 美공장 신설투자 속도 늦춰 배터리 계열사 생존 안간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