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부양책에 증시 반등했지만 美대선 앞두고 갈등 심해져 BYD·샤오미 등 기술주 부진 상하이지수 석달간 10% 하락
상하이지수 석달간 10% 하락 올해 4월 잠시 반등을 시도하던 중국 증시가 미·중 무역분쟁 이슈로 다시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미국 대선과 관련된 불확실성으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고개를 들고 신흥국에서 자금 유출까지 가속화됐다. 이미 상하이종합지수는 연초보다 더 떨어졌고 홍콩 증시 역시 올해 4월 수준으로 복귀했다.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2022년 이후 제대로된 반등 없이 약세장이 계속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시작된 중국 경제의 취약성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트럼프 미 대통령 후보의 대선 가도에 따라 미·중 무역분쟁 가능성이 다시 높아지자 중국 증시의 부진이 이어진 것이다.올해 2분기 중국 GDP 성장률이 4.7% 상승에 그치는 성장 둔화 속에서 대출 수요 감소까지 동반됐기 때문이다.
오히려 통화량 지표인 M2 증가량은 6월에 6.2%로 낮아지며 역사적 저점을 기록했다. M1 증가율은 지난달 -5%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으로 역성장했다. 부동산 대출 축소 속에서 주택 가격 하락이 계속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관세 정책에다 반도체·전기차 등 첨단 제조 부문에 대한 견제까지 더해져서 중국 증시를 이끌어온 대형주들의 실적이 흔들릴 가능성도 나온다.반면 인도펀드는 23.82%, 북미펀드는 19.87%다. 같은 아시아권인 베트남은 12.07%, 일본펀드는 11.89% 수익률을 거둔 것과 대조적이다. 이때 문에 올 들어 중국펀드에서 설정액은 2700억원 빠져나갔는데 이는 국가별 펀드 중 가장 큰 유출 규모다.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경기의 펀더멘털 약화는 구조적인 부동산 공급과잉과 연계되어 있어 적극적인 정부의 통화완화와 재정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은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금리 인하와 더불어 정부의 정책 지원 강도가 이전보다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 내구재 교체 수요가 나타날 것”이라며 “중국 기업 중 가전과 자동차는 수혜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안 좋다 안 좋다 했지만 이 정도일 줄”…목표가 우수수 ‘이 업종’이달 목표가 하향 보고서 총 111건 1분기 이어 2분기 실적 전망도 ‘흐림’
Read more »
[단독] '이종호, 지금도 김건희 여사와 연락되는 것처럼 말해'[앵커]이 사건 취재하고 있는 김지아 기자와 스튜디오에서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김 기자, 이 사건을 제보한 공익 신고자가 4성 장군 이야기에 대한 배경을 설명해 줬다고요?[기자]공익신고자에 따르면, 평소 이
Read more »
“내년엔 쌍끌이로 더 좋다”...삼성·하이닉스, HBM 경쟁에도 웃는 이유올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1분기에 이어 호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증가에 힘입어 글로벌 메모리 매출이 크게 늘어난 덕분이다. 22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오는 31일, 25일 2분기 확정 실적을 발표한다. 삼성전자가 2분기 깜짝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SK하이닉스 역시 호
Read more »
[올림픽] ''자유의 나라' 프랑스에 태권도란 '무도' 필요한 이유는…'(퐁텐블로[프랑스]=연합뉴스) 이의진 기자='여기는 '자유의 나라'잖아요? 그래서 더 규율과 기강, 예절을 알려주는 무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Read more »
송씨, 임성근 옹호 발언…'기획설' 주장과 대치된 정황들[앵커]이 사안 취재하고 있는 김지아 기자와 이야기를 더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김 기자, 저희가 보도한 골프모임 단체 대화방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민주당 쪽이다, 그래서 이 제보가 기획된 것이다란 게 국민의
Read more »
“다들 흥분할때가 역시 꼭지였네”...‘이 나라’ 증시 먹구름 전망일본증시 ‘엔저 먹구름’ 엔화값 38년만에 최저치 경신 높은 인플레에 경기둔화 우려 외국인 최근 5주 연속 순매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