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부, 양수 터졌다” 그런데 병원 75곳서 거부당해…내년 설엔 응급실 대란 어떻게 막을건가 [매경데스크]

United States News News

“임신부, 양수 터졌다” 그런데 병원 75곳서 거부당해…내년 설엔 응급실 대란 어떻게 막을건가 [매경데스크]
United States Latest News,United States Headlines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5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51%

의료진 헌신·시민의식 덕 연휴 응급실 대란 피했지만 지속가능 불투명···위험 계속 조속한 의정협의체 출범으로 한발씩 양보 국민안전지켜야

한발씩 양보 국민안전지켜야 추석 연휴 염려했던 응급실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아찔한 순간이 적지는 않았다. 복부 자상 환자가 10곳 넘는 병원에서 치료를 거부당한 뒤 사고 발생 4시간이 넘어 병원으로 이송되는가 하면 손가락 절단환자가 사고 발생 2시간이 지난 뒤 수술을 받기도 했다. 25주차 임신부가 양수가 터져 병원을 찾았지만 75곳에서 이송을 거부당했고, 6시간이나 구급차에서 대기한 끝에 겨우 진료를 받았다. 그래도 큰 불상사는 없었던 셈이니 천만다행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번 연휴 동안 응급실 방문 환자는 하루 평균 2만7505명으로 지난해 추석과 올해 설보다 20% 넘게 감소했다. 특히 경증 환자는 올 추석 연휴 기간 일 평균 1만6157명으로 작년 추석이나 올 설보다 30% 넘게 줄었다. 응급실 방문 중증 환자수는 하루 평균 1255명이어서 지난해 추석과 올 설 대비해 소폭 줄어들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의료 기관들의 적극적인 진료 참여, 응급 의료 현장 의사·간호사·직원분들의 헌신과 노력, 더 필요한 분에게 응급실 이용을 양보하는 국민 여러분의 높은 시민 의식이 함께 작용했다”고 설명했다.하지만 절대로 안도할 수 없다. 이런 비정상적인 시스템이 장시간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추석연휴 대란은 가까스로 막았다지만 앞으로 다른 ‘응급실 뺑뺑이’ 사고는 계속 벌어질 것이고, 안타까운 희생자도 나오지 말란 법이 없다.

이번 추석연휴 응급의료체계가 별 탈 없이 작동한 것은 정부 발표처럼 현장에 남은 의료진들의 헌신과 시민 의식 덕이다. 하지만 한계에 다다른 응급실 근무 의료진에게 언제까지 헌신과 희생을 강요할 수 있을까. 중증 환자에게 응급실 이용을 양보한 수준 높은 민도는 인식 변화 때문이기도 하지만 인위적인 수요 조절의 결과이기도 하다. “연휴 때 아프거나 다쳐도 응급실 못간다”는 불안감이 퍼지면서 스스로 조심하고 어지간한 질환이나 부상은 참고 견딘 국민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수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의료 파행은 의사들의 특권의식과 집단이기주의 탓이기도 하지만, 정부의 뜬금 없는 의대생 증원 발표가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을 부인하기 힘들다.

그럼에도 지금은 시시비비만을 따지기엔 너무 한가하다. 의사단체가 참여하는 여야의정협의체의 조속한 출발로 모두가 머리를 맞대 해법을 마련하는 일에 모든 힘을 기울일 때다. 2025학년도 의대정원 문제는 현시점에서 되돌리는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하지만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문제는 충분히 의제로 올릴 만하다. 정부와 정치권, 의료계 모두 한발씩 양보해 합리적인 타협안을 들고 나오길 바란다. 잘잘못을 가리고 책임자를 문책하는 것은 그다음이다. 정치적 셈법과 이기심에 각자의 목소리만 높이는 와중에 피해를 보는건 결국 국민들 뿐이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maekyungsns /  🏆 15. in KR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양수 터진 임신부·복부 자상 60대…불안한 ‘병원 뺑뺑이’ 줄이었던 연휴양수 터진 임신부·복부 자상 60대…불안한 ‘병원 뺑뺑이’ 줄이었던 연휴추석 연휴 기간 응급실 이송을 거부하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례가 잇따랐다. 정부는 연휴 기간 응급의료 공백은 없었다고 자평했지만, 연이은 진료 거부 소식에 시민들의 불...
Read more »

[매경데스크] 내년 설에도 이렇게 막을 건가[매경데스크] 내년 설에도 이렇게 막을 건가의료진 헌신·시민의식 덕에연휴 응급실 대란 피했지만지속가능 불투명…위험 지속조속한 의정협의체 출범으로한발씩 양보 국민 안전 지켜야
Read more »

추석 연휴 ‘의료공백’ 노출됐다…손가락 절단 환자, 응급실 4곳서 거부추석 연휴 ‘의료공백’ 노출됐다…손가락 절단 환자, 응급실 4곳서 거부전국 대부분 주요 병원 응급실, 당직의사 배치
Read more »

임산부 ‘응급실 뺑뺑이’에도 “응급실 대란 없었다”는 정부임산부 ‘응급실 뺑뺑이’에도 “응급실 대란 없었다”는 정부복지부 “응급실 환자, 작년보다 20% 이상 줄어...시민의식 덕분”
Read more »

[사설] 응급실 ‘문제 없다’ 나흘 만에 의사 돌려막는 정부가 ‘문제’다[사설] 응급실 ‘문제 없다’ 나흘 만에 의사 돌려막는 정부가 ‘문제’다응급실 대란 조짐이 짙어지면서 정부가 2일 군의관·공중보건의 250명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응급환자·구급대원들의 ‘뺑뺑이’ 아우성과 여야 경고에도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브리...
Read more »

응급환자 작년보다 20% 줄어 … 추석연휴 의료대란 피했다응급환자 작년보다 20% 줄어 … 추석연휴 의료대란 피했다조규홍 장관 비상진료 브리핑응급실 하루 2만7500명 찾아문연 병원 두배 가까이 늘어경증환자 30% 넘게 감소충주등 응급실 뺑뺑이 사례이전부터 계속 있었던 문제필수·지역의료 부족 해결위해정부, 의료개혁 추진하는 것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4 17:5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