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점토서 가습기살균제 성분 활동보드 납 158배·색연필 바륨 검출
활동보드 납 158배·색연필 바륨 검출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완구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의 158배에 달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2일 서울시는 어린이 완구·학용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시는 지난달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을 발표하고 4월 말부터 한 달간 어린이용 완구·학용품·장신구·가죽제품을 매주 선정해 안전성 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검사 결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어린이 점토 세트 2개에서 국내 어린이 점토에 사용이 금지된 클로로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과 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 성분이 검출됐다. 이들 성분은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도 사용됐던 게 알려져 유해성 논란이 일었었다. 일정 농도 이상 노출될 경우 피부, 호흡기, 눈에 강한 자극을 주는 등의 위해성으로 어린이 점토에서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이 중 1개 세트의 모든 점토에서는 붕소가 기준치의 약 39배 초과 검출됐다.
어린이용 완구인 ‘활동보드’ 제품 일부 부분에서는 납 함유량이 기준치의 158배 초과 검출됐다. ‘금속 자동차’ 장난감은 ‘날카로운 끝’ 물리적 시험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어린이가 갖고 놀다가 찔리거나 베일 수 있어서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인기 색연필 세트에서는 12개 색상 중 10개 색상에서 바륨이 기준치 대비 최대 2.3배 검출됐다. 바륨은 피부·눈 등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고, 안구·구강을 통해 체내에 흡수되면 위장관 장애·심전도 이상·신경계 이상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해외 온라인 플랫폼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나 불만 사항은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 또는 120 다산콜로 전화 상담하거나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로 문의하면 된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어린이날 선물 알리서 샀다간 애 잡겠네”…어린이 제품에 발암물질 범벅서울시, 테무·알리 상품 조사 11개서 최대 348배 기준 초과
Read more »
中 알리·테무 어린이제품서 발암물질 3000배 검출중국 해외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초저가로 판매 중인 어린이제품에서 무더기로 중금속과 발암물직이 검출됐다. 알리, 테무는 초저가 경쟁력을 무기로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데 제품 안전 문제가 불거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0일 관세청은 알리와 테무에서 평균 판매가격이 3468원인 학용품, 장난감 등 어린
Read more »
테무·알리 판매 어린이용품 일부서 ‘발암가능물질·납’ 기준치 크게 초과중국 해외 온라인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용품 일부에서 발암가능성물질과 납 등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테무·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
Read more »
알리·테무 매서운데 ‘이것’까지 온다…미국서 돌풍, 한국상륙 임박알리·테무 사용자 1700만명 초저가로 빠르게 시장 장악 美서 돌풍 틱톡샵도 상륙 준비 연내 쿠팡 이용자 제칠 수도
Read more »
“한국인 개인정보 건드리지마”…알리·테무 만나러 중국 간 韓정부알리·테무 정보유출 논란 커지자 개보위 “한국법 준수” 직접 압박 최장혁 부위원장, 베이징 날아가 中기업 10개사 초청 현장 간담회 “전자상거래업체 실태조사 진행”
Read more »
싼맛에 마구 담았더니, 발암물질도 덤으로?…알리·테무 소비자 불안 확산중국 쇼핑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구매한 제품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잇따르자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내가 구매한 시곗줄에도 발암물질이 있을까’, ‘얼굴 마사지기도 발암물질일까’, ‘중국산 옷을 사 입어도 될까’ 등의 소비자 반응이 잇따라 올라왔다. 지난 7일 인천본부세관은 알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