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5년 예산안 의결 尹 “24조 지출 구조조정” 예산 증가율 3.2%로 묶어 취약계층 선별복지 ‘방점’ R&D에 29.7조 역대 최대
R&D에 29.7조 역대 최대 정부가 나랏돈 씀씀이를 최대한 억제한 내년도 ‘짠물 예산’을 편성했다. 세수 결손 우려에 국가채무까지 급증하는 상황에 재정 건전성에 방점을 찍고, 3년 연속 20조원대 고강도 지출 구조조정에 나섰다.
이렇게 아낀 재원은 저소득층, 소상공인을 비롯한 취약계층 지원에 대거 투입한다. 거대 야당의 보편 복지에 대응해 선별복지와 건전재정으로 맞불을 놓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국회 예산심의 정국에서 복지재원 배분을 놓고 정부·여당과 야당간 치열한 공방을 예고했다. 27일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내년도 예산안 총지출을 전년 대비 3.2%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총지출은 내년 677조4000억원으로 20조8000억원 늘어난다. 총지출 증가율은 재정 통계가 정비된 2005년 이후 네번째로 낮지만, 올해보다는 소폭 높아졌다. 다만 정부가 전망한 내년 경상 성장률 보다 낮아 ‘감축 예산’을 짠 것으로 평가된다. 경제가 성장하고, 물가가 오르는 속도보다 나랏돈을 적게 쓰겠다는 것이다.윤 대통령은 “정부 출범 이후 2017년까지 69년간 누적 국가채무가 660조원인데 지난 정부 단 5년 만에 1076조원이 됐다”며 “재정 부담이 크게 늘면서 정부가 일하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앞으로 고령화로 인해 건강보험과 연금 지출을 중심으로 재정 운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서 비효율적인 부분은 과감히 줄이고 꼭 써야 할 곳에 제대로 돈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건전재정은 우리 정부가 세 번의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지켜온 재정의 대원칙”이라며 “재정사업 전반의 타당성과 효과를 재검증해 총 24조원의 지출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이를 통해 절감된 재원은 국가가 반드시 해야 할 일에 집중적으로 투입했다”고 밝혔다.정부 복지 사업의 잣대인 기준 중위소득을 역대 최대 수준으로 올리고, 영세 소상공인에게 연 최대 30만원의 배달·택배비를 지급한다. 육아휴직 급여 상한을 월 150만원에서 250만원까지 늘리고, 노인 일자리는 사상 최대인 110만개로 확대하며 청년층 150만명에 국가장학금을 주기로 했다.윤 대통령은 “단순한 현금성 지원은 지양하고 실제 육아 현장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일·가정 양립, 자녀의 양육, 주거 등 3대 핵심 분야를 중점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감세는 눈감고, 문 정부 탓하며…2년 연속 ‘짠물 예산’ 편성정부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역대급 ‘짠물 예산’을 편성했다. 내수 부진 등 민생 경기 회복 속도를 정부가 더디게 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은 짠물 예산 편성 이유로 문재인 정부 때 늘어난 국가채무를 지목했다. 정부는 2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Read more »
내년 예산 677조 건전재정 '시즌2'정부, 2025년 예산안 의결尹 '24조 지출 구조조정'예산 증가율 3.2%로 묶어취약계층 선별복지 '방점'R&D에 29.7조 역대 최대
Read more »
내년 예산 677조 확정…정부지출 찔끔 늘려 내수부진 외면정부가 내년 지출 예산을 677조4천억원 규모로 하는 예산안을 확정했다. 올해에 견줘 정부 지출을 3.2% ‘찔끔’ 늘린다는 계획으로, 정부 지출 증가폭이 경상성장률 전망치(4.5%)를 또다시 밑도는 긴축 예산이란 평가다. 감세와 건전재정 집착이 만들어낸 짠물 예산은
Read more »
윤석열 “재정건전성이 철칙” 강조하지만 실상은 부실…원인은 감세세수 감소로 적자 예산 편성…지출 증가율 3%, 실질적 재정 역할은 후퇴
Read more »
교육부 예산 104.9조 편성…의대 지원에 4876억 투자교육부의 2025년도 예산이 104조9천억원으로 편성됐다. 교육부 예산이 100조원 이상 규모로 편성된 건 2023년 101조9천억원 이후로 두 번째다. 올해 95조8천억원보다 9조1천억원 가량 늘었으나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증가와 보건복지부 소관이던 보육 예산이 교육부로
Read more »
“여보, 육아휴직 한번 생각해봐”…내년부터 최대 250만원 지원한다저출생·의료 예산 확대 부부소득 2억5천만원까지 신생아 특례대출 가능해져 필수의료에 5년간 재정 10조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