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 해 동안 폐업 신고자가 1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해 전에 견줘 역대 최대 폭인 약 12만명 급증했다. 고금리 장기화와 내수 부진 등이 그 배경으로 꼽힌다. 폐업 자영업자들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유도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국세통계연보를 보면, 지난해 폐업 신고한 사업자는 98만6487명이다. 연간 폐업자 수는 2019년 92만2159명에서 2020년 89만5379명으로 줄어든 뒤 2022년까지 80만명대를 유지하던 터였다. 지난해 100만명에 가깝게 수직 상승했다는 뜻이다. 전체 사업자 중 폐업 사업자 비중도 2019년 11.5%에서 2020년 10.3%, 2021년 9.6%, 2022년 9.0%로 차츰 작아지다가, 지난해 9.9%로 상승했다.
내수 경기와 직접 연관된 업종에서 폐업 신고가 많이 늘었다. 지난해 소매업 폐업 사업자 수는 27만6564명으로, 1년 전에 견줘 29.0% 늘었다. 전체 폐업 자영업자 수 증가율의 2배를 넘어선다. 이어 서비스업 폐업 사업자 증가폭도 17.7%로 컸고, 음식점업과 건설업도 각각 16.3%와 15.9%로 증가폭이 평균보다 큰 편이었다. 이병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폐업 사업자 수 증가는 내수 부진과 고금리 상황에서 견디기 힘든 자영업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폐업 사업자 수는 올해도 늘어날 공산이 크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 올해 상반기 실업자 가운데 지난 1년 사이 자영업자로 일했던 사람은 월평균 2만6천명이었다. 지난해 상반기에 견줘 23.1% 급증했다. 올 상반기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최근 1년 사이 자영업자로 일했던 사람 또한 월평균 26만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6.0% 증가했다.
이런 까닭에 폐업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취업·재창업 지원은 물론 노동시장에 재진입하기까지 버틸 수 있도록 하는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뒤따른다. 정부가 추진 중인 소상공인 채무조정 지원, 배달료 등 고정비용 지원, 대출 만기 연장 등의 조처에서 한발 나아가 이들을 노동시장으로 끌어들이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하다는 뜻이다.우석진 명지대 교수는 “한국은 전체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 비중이 크고, 특히 노동시장에서 밀려난 생계형 자영업자가 많다는 점이 문제”라며 “이들이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병희 선임연구위원은 “중장기적으로 자영업자들의 실직 이후 안전망을 제도적으로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스페인이나 아일랜드 등 일부 나라들처럼 자영업자 고용보험 가입을 확대 또는 의무화하는 방안부터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자영업자 망하는데 누가 상가 쳐다보나요”…매물 쌓이는 상가 경매올해 1분기 기준 자영업자 대출 잔액 884조4000억원 6곳 중 1곳 대출 해결 못해 폐업 7월 경매 2294건…1년 새 두 배
Read more »
[단독] “돈 없어 폐업 신고도 못했다”…‘매출 0원’ 방치된 깡통회사 급증수입금액·각사업연도소득금액 ‘0’인 법인 2015년 1만115개→작년 2만7568개 폭증 무분별한 창업·불황 여파로 폐업 늘었는데 청산 비용·절차 부담으로 청산도 못 해 ‘무늬만 법인’으로 방치된 곳 증가
Read more »
[단독] 내수부진 장기화에 매출·이익 ‘0’인 깡통법인 급증수입금액·각사업연도소득금액 ‘0’인 법인 2015년 1만115개→작년 2만7568개 폭증 무분별한 창업·불황 여파로 폐업 늘었는데 청산 비용·절차 부담으로 청산도 못 해 ‘무늬만 법인’으로 방치된 곳 증가
Read more »
'더는 못 버텨' 中펀드서 반년새 1조 탈출中 주식형펀드 수익률 부진1·3·6개월 모두 '마이너스'부양책도 소용없자 자금 이탈일각선 장기불황 될까 우려도
Read more »
“출퇴근길 좀 조용히 갑시다”…쩌렁쩌렁 재촉, 오글오글 감성멘트, 지하철 방송 스트레스“볼륨 너무 크다” 승객 민원 올해 들어서만 7000건 육박 “객차내에서 조용히 해달라는 안내방송이 훨씬 더 거슬려”
Read more »
고막 때리는 지하철 안내방송…시민들은 피곤합니다'볼륨 너무 크다' 승객 민원올해 들어서만 7000건 육박'객차내에서 조용히 해달라는안내방송이 훨씬 더 거슬려'기관사의 '감성 멘트' 방송도일각선 '훈수 듣고 싶지 않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