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개월 만에 1%대 진입했지만...배추 53.6%, 무 41.6% 상승
9월 소비자물가 동향 ⓒ 통계청 2일 통계청 이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4.65로, 전년 동월 대비 1.6% 상승했다. 이는 2021년 2월 1.4%를 기록한 이후 3년 7개월 만에 최저치다.
다만 폭염으로 인해 배추, 무 등 채소류 가격이 크게 뛰었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다. 특히 최근 가격이 급등한 배추는 53.6% 상승했다. 김장 채소 중 하나인 무도 41.6% 올랐다. 상추는 31.5%, 풋고추도 27.1% 가격이 상승했다.이밖에 쌀, 토마토, 국산쇠고기 등도 가격이 떨어졌다 공업제품은 전년 동월 대비 0.3%로 소폭 상승했다. 2023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석유류가 전년 동월 대비 7.6% 하락한 영향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휘발유는 8.0%, 경유는 12.0% 각각 하락했다.이밖에 공업제품 중 수입승용차, 자동차용LPG 등도 가격이 올랐다.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대비 2.2% 상승했다. 개인서비스 중 외식은 구내식당식사비, 치킨 등이 오르면서 2.6% 상승했다. 외식 외 서비스는 전년 대비 3.2% 상승했다. 보험서비스료, 공동주택관리비 등이 오른 영향이다.공공서비스는 1.3% 상승했으며, 집세는 월세, 전세가 소폭 상승하면서 전년 대비 0.5% 올랐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일주일 만에 돌아온 외국인에 코스피 상승…2차전지·화장품 관련株 급등 [이종화의 장보GO]포스코퓨처엠 15% 급등 마감 등 2차전지 관련주 일제히 상승 마감 K뷰티 수출 기대감에 화장품株 올라 한국화장품제조 역대 최고가 거래
Read more »
8월 물가 2.0%↑, 41개월만에 최저…농산물·유가 안정세(종합2보)(세종=연합뉴스) 민경락 박재현 기자=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 초반으로 둔화하면서 안정세를 이어갔다.
Read more »
“과연 집값, 정책약발 통할까”...금리인하 시기·속도 좌우한다는데한국은행, ‘통화신용정책보고서’ 발간 기준금리 운용 방안 및 주택가격 상승 등 이슈 점검
Read more »
“또 다른 은행 알아봐야 되나”…KB·하나은행 주담대 금리 또 올려이례적 강한 대출규제에도 주담대 등 가계대출 상승 지속되자 1달만에 다시 금리인상 나서 김병환 “가계부채 관리해달라” 당부
Read more »
2만원 배추, 1만원 시금치…한달 새 각각 73%·124% ‘급등’지난 8월 기록적인 폭염으로 농림수산품 가격이 다시 급등했다. 배추는 한달 사이 73%, 시금치는 120% 넘게 올랐다. 다만 공산품 가격이 안정되면서 전체 생산자물가는 소폭...
Read more »
“투기 조장” vs “계약 조력”…5대 은행 주담대 절반 ‘이들’ 거쳤다는데집값 상승 속 모집인 의존 심화 지난 4월 사상 첫 10조원 돌파 모집인 3000명에 수수료만 월 400억원 내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