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상 비중 크게 늘고 50~60대 구매비율은 감소 유형별론 아파트가 강세
유형별론 아파트가 강세 지난 여름 이후 계속해서 상승세를 타고 있는 부동산 시장의 ‘큰 손’은 40세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15일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가 발표한 ‘KB주택시장리뷰’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7월 이후 2개월 연속 상승했고, 매매 거래량은 2022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연령대별 주택 매매 비중을 보면 40세 이하가 가장 많았을 뿐 아니라 최근 들어 그 비중이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다. 그 뒤를 40대가 이었다. 40대 역시 40세 이하와 추세적으로 같은 경향을 보였다.40세 이하, 그 중에서도 30대는 이미 2019~2021년에 걸쳐 나타난 이른바 부동산 상승장을 목격한 세대다.
시장 가격 억제를 위한 정부의 각종 부동산 정책이 쏟아져 나왔지만 오히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지 가격은 폭등했고, 이 때 집을 사지 않은 사람들은 스스로를 자조적으로 ‘벼락거지’라고 칭하기도 했다.이 때문에 하락세에서 상승장으로 가는 현 시점에서 40세 이하 젊은 실수요층은 어떻게든 대출을 최대한 끌어 써서라도 집을 매수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잔액이 지난 8월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이 늘어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지역별로 보면 서울 주요 지역에서 매매가격 상승세와 매매 거래량 증가세가 시작됐고, 이 것이 기타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는 분석했다.
서울의 경우 지난 4월까지만 해도 3개월 연속 매매가격이 상승한 자치구가 강동과 양천 등 2개구에 불과했으나, 5월에 마포가 추가되고, 6월에 성동, 용산, 강남, 서초 등까지 포함되며 7개로 증가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대출 죄기로 집값 주춤할 때 똘똘한 1채 매수기회 잡아라추석이후 부동산 시장 어디로2가지 꼭 확인을전세가 하락 추세땐집값 안정세 전망건설경기 가늠자지방미분양 체크를
Read more »
‘내수 부진’ ‘집값·가계부채 급등’ 놓고…이창용 “저글링 중”한국은행이 22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주요 배경에는 더딘 내수 회복세가 있다. 그럼에도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내수 회복을 위한 유동성 공급보다는 부동산 시장 불안과...
Read more »
전고점 회복한 '엘리트'에 신축 호재까지 … 잠실 불붙었다 [부동산이 보인다]부동산 시장 변화의 바로미터꿈틀거리는 잠실권역 아파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 '3대장'84㎡ 전고점 돌파하며 진격 중하락률 컸던 만큼 반등도 화끈재건축 단지도 가격 끌어올려18년 만에 신축 대단지도 공급분상제로 국평 '5억 차익' 기대
Read more »
과거로 돌아가는 공시가 산정방식... ‘부자감세’ 비판 여전국토교통부, ‘부동산 공시가격 산정체계 합리화 방안’을 발표...‘전년도 공시가격×(1+시장 변동률)’
Read more »
이창용 “집값 상승 고리부터 끊어야”…정부에 금리인하 ‘선결조건’ 제시22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내수 시장 부진과 부동산 불안 사이에서 고민하던 금통위가 ‘금융안정’에 방점을 찍고 동결을 택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금리가 예전처럼 0.5% 수준으로 내려가 영끌에 대한 부담이 적을 거라 생각해선 안 된다'며 '금통위원들은 한은이 과도한 유동성을 공급해 부동산 가격 상승 심리를 부추기는 정도로 통화정책 운용을 하지 않겠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은이 계속 이 문제를 강조하는 건, 한은이 이자율을 급히 낮춘다든지 유동성을 과잉 공급해 부동산 가격 상승의 심리를 자극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 때문이다'.
Read more »
8월 둘째주 18세 이하 코로나 입원환자 70명…개학 학교 '비상'(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는 가운데 초·중·고등학교가 본격적으로 개학하면서 학교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