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 위성 ‘타이탄’에 파도가 일렁이는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향후 추가 관찰을 통해 이 같은 분석이 최종 확인되면 타이탄은 파도가 넘실대는 바다...
미국 항공우주국 탐사선 ‘카시니호’가 촬영한 토성 위성 타이탄 표면의 ‘크라켄해. NASA 제공
토성 위성 ‘타이탄’에 파도가 일렁이는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향후 추가 관찰을 통해 이 같은 분석이 최종 확인되면 타이탄은 파도가 넘실대는 바다를 가진 지구 외 첫 번째 천체가 된다. 파도를 만드는 동력은 바람인 것으로 보여 타이탄을 대상으로 한 기상 연구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타이탄은 반지름이 2575㎞인 천체다. 달의 1.5배에 이르고 수성보다도 크다. 태양과 멀기 때문에 표면 온도는 영하 178도다. 위성치고는 꽤 크고, 동시에 무척 추운 천체다.바다 중 가장 큰 것은 ‘크라켄해’다. 면적이 40만㎢인데, 지구에서 가장 큰 내륙형 바다인 카스피해보다 크다. 그런데 그동안 우주과학계는 타이탄의 바다에서 파도가 치는지는 알지 못했다. 우주에서 찍은 원거리 사진으로는 파도를 식별할 수가 없어서다.
분석 결과, 파도가 있다고 가정하고 돌린 시뮬레이션이 타이탄 해안선의 실제 모습과 더 닮아 있었다. 파도가 끊임없이 들이치는 상황을 부여한 해안선은 시간이 지나면서 비교적 둥글둥글하게 변했다. 하지만 파도가 없을 경우에는 해안선이 뾰족뾰족한 상태를 유지했다. 연구진은 “파도를 생성하는 동력은 바람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구에서도 파도는 바람에 의해 많이 생성된다. 타이탄에 파도를 만들 만큼 비교적 강한 기상 현상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타이탄 대기는 98%가 질소인데, 대기압이 지구의 1.4배에 이른다. 대기가 짙다는 뜻이다.
다만 연구진의 이번 분석은 기존 사진 자료와 시뮬레이션에 의존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파도가 친다는 확증을 얻으려면 근거리에서 타이탄의 바다를 촬영해야만 한다. 그런 일은 곧 현실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프로펠러를 돌려 타이탄 대기권 안에서 날아다닐 무인기 ‘드래건 플라이’를 2027년 발사한다. 타이탄 도착 예정 시점은 2034년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금성, 살아 있었다…“화산 분출 증거 발견”태양계 2번째 행성인 금성에 활화산이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발견됐다. 태양계 내에서 지구 외에 용암을 내뿜는 활화산을 보유한 천체는 매우 드문데 금성이 지질학적으로 ‘살아 있...
Read more »
바다 오염과 투쟁하는 사람들이 있다라파스에서 '좋은 삶을 위한 항해'에 참여하다
Read more »
고흥 무지개다리에 '용'이 있다?임진왜란 승리의 주역, 고흥 사람들... 바다에서 흥했고, 하늘에서도 흥할 곳
Read more »
'5명 사상' 평창 LPG 충전소 폭발…벌크로리 기사 금고 1년6개월(종합)[영상] 평창 폭발사고 26분 전, 충전소 앞은 이미 '가스 바다'였다
Read more »
SF 아닌 현실로…'인간형 로봇' AI 열풍 새 모멘텀 되나(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세계 경제를 이끄는 AI(인공지능) 열풍에서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로봇)이 새 유망주로 떠오르고 있다.
Read more »
[사이테크+] '토성 최대 위성 타이탄의 바다에 강한 파도 활동 가능성'(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토성에서 가장 큰 달인 타이탄에는 메탄과 에탄으로 가득 찬 바다와 호수가 있다. 이 바다와 호수에서 해안선을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