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김수현 기자=요즘 교사와 학부모들은 '스마트폰과의 전쟁'을 치르는 중이라고 토로한다.
일러스트학생들이 집에서는 물론 학교에서도 스마트폰 화면만 들여다보는 탓에 대화가 사라지고 교실에서는 제대로 된 수업이 이뤄지지 못한다는 것이다.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달 학교의 휴대전화 일괄 수거는 인권침해가 아니라는 결정을 내린 데 이어 정치권과 정부가 교내 스마트폰 사용 금지 법안 추진에 공감대를 이룬 것은 우리나라 역시 더는 이 문제를 묵과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는 인식에서다.◇ 청소년 37% '숏폼' 조절 못해…'제한' 공감대여성가족부가 초4·중1·고1 124만9천327명을 상대로 한 '2024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 습관 진단 조사 결과'를 보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은 22만1천29명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의 17.7%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도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서는 청소년의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40.
교육부 관계자는"현재도 어떤 형태든 학교 95%가량이 생활지도고시를 통해 스마트폰을 제한하고 있으나 법적 근거가 있는 게 좋다는 의견이 나왔다"며"여당이 발의했지만, 취지에는 야당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해외에서는 이미 교내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규정이 속속 만들어지고 있다.학교 안에 별도의 사물함을 만들어 학생이 등교하면 스마트폰을 수거하고 하교 때 돌려주는 방식이다.미국 캘리포니아주는 학생들의 교내 스마트폰 사용 제한 또는 금지를 규정한 법률을 지난 9월 제정했다. 이 법은 교육위원회 등이 2026년 7월 1일까지 학생의 교내 스마트폰 사용 금지 또는 제한 정책을 수립하고 5년마다 정책 검토를 하도록 했다.
영국은 올해 초 교내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하도록 학교에 지침을 내린 데 이어 관련 법안도 최근 발의됐다. 법안은 모든 학교가 '휴대전화 없는 지대'가 돼야 한다는 법적 의무를 담고 있다.자칫 청소년의 심야 게임을 금지한 '게임 셧다운제' 당시 불거졌던 논란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게임 셧다운제는 청소년의 자기 결정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았다.교육부 관계자는"이번에 추진되는 법안은 스마트폰 사용을 두고 학생과 교사 간 충돌이 발생했을 때 제시할 법적 근거로 볼 수 있다"며"구체적인 제한 방안이나 미이행 시 처벌 규정은 교칙으로 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자본연 “국내 규제로 미국 고위험 상품에 개인투자자 몰려”국내 레버리지 등 파생상품 규제 강화에 개인투자자들 해외 레버리지 투자로 몰려
Read more »
“세계최강이 중국이라고?”…첨단기술 순위 10년 뒤 바뀐다는 주장 나왔다는데前 전인대 부위원장 출신 “제조 방산 등 美 추월” 주장
Read more »
5만원 빌려주고 이자 1000%…청소년 대상 사기 기승금융사기 차단 나선 정부금융지식 없는 청소년 노려SNS로 대출·도박 등 유혹'금융과 경제' 교과목 신설2026년 고2부터 가르치기로사기 예방·대출 방법 등 교육
Read more »
“중학생 우리 아들이 자꾸 돈 얘기해요”…이 방에 들어갔나 의심을금융사기 차단 나선 정부 금융지식 없는 청소년 노려 SNS로 대출·도박 등 유혹 ‘금융과 경제’ 교과목 신설 2026년 고2부터 가르치기로 사기 예방·대출 방법 등 교육
Read more »
정년에 떠나는 기술인재 vs 연장 누리는 단순직 … 임금 역차별 우려산업·직군별 차등적용 시급中, 반도체인재에 고액 제안핵심기술 해외유출 '빨간불'삼성·하이닉스는 재고용 나서정규직 운전기사 억대연봉에비정규직 젊은기사들 눈총정부 부처도 상황 제각각국토·해수부 등 호봉제 다수인건비 부담에 연장 불투명
Read more »
[단독] “요즘 누가 이 차 타요”…판매량 뚝 떨어지고 충전소도 안보이네올해 신규등록 3500대 전망 지난해부터 급감 추세 이어져 지원금 예산 불용액도 증가해 업계선 승용보다 상용차 강화 “수소트럭 등 우선 공략해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