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에선 32만명을 태운 비행기를 두고 논란이 한창이다. 이들은 누구인가. 워싱턴 이그재미너와 뉴욕포스트 데일리메일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그들의 정체는 다름아닌 불법 입국자들이다. 미국으로 넘어오려는 이주 희망자들을 미국 전역으로 실어나른 것이다. 보수 진영에선 “불법 입국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해 지지세력으로 만들려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수십만 명을
워싱턴 이그재미너와 뉴욕포스트 데일리메일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그들의 정체는 다름아닌 불법 입국자들이다.보수 진영에선 “불법 입국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해 지지세력으로 만들려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수십만 명을 미국 전역에 실어나르다가 딱 걸렸다”고 맹공을 퍼붓고 있다.바이든 정부는 일단 사실 자체는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비밀이 아니라 공개 프로그램의 일환이라는 입장이다. 또한 비행기에 탄 입국자들은 미국 관세국경보호청 앱으로 망명 신청을 했기 때문에 입국이 허용된 사람들이라고 주장한다.미 현지에선 이 건으로 소송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32만명의 행선지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바이든 정부를 대변하는 이민국 변호사들은 “장소 공개가 국가 안보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며 공개를 꺼리고 있다.전체 불법 입국자수가 지난해 말 기준 800만명에 달한다는 소식도 들린다.하지만 진실을 한번 따져보자.미국엔 엄연히 이민법이 있다.
불법 입국 문제는 필연적으로 ‘국경 소멸’ 이슈와 연결될 것이다. 그것은 결국 ‘국가의 소멸’을 의미한다. 국경 소멸은 성다양성·기후위기론과 함께 조만간 시대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과거 사회주의자들은 혁명에 의한 공산주의 세상을 꿈꿨다. 그러나 폭력을 동반한 혁명운동에 거부감이 일자 그들은 ‘느린 혁명’으로 전략을 바꿨다. 대중문화와 교육, 언론 등에 침투해 점진적으로 사람들의 인식을 전환시키겠다는 것이다. 그들이 추구하는 바는 다름 아닌 ‘국가의 소멸’이다. 미셸 푸코에 따르면 국가는 인구와 영토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그 연결 고리가 끊기는 순간 소멸할 수밖에 없다. 국가가 없어져야 그들이 꿈꾸던 공산주의 이상이 실현된다.
일본의 가라타니 고진은 더 큰 그림의 전략을 제시한다. 단지 한 나라에서 프롤레타리아혁명이 성공한다 해도 그건 큰 의미가 없다. 다른 국가들이 정부 권력이 사라진 이 나라를 가만 놔둘 리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 국가의 소멸을 이끌 인류 차원의 집합적인 힘, 즉 세계공화국이 필요하다고 설파한다.미묘하게도 현재 유엔 사무총장은 골수 사회주의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포르투갈 사회당 대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대표 출신이다.국가를 이루는 핵심 기반이 영토다. 한국이든 미국이든, 국경과 불법 입국자 문제를 소홀히 다뤄선 안되는 이유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매경데스크] 국경의 소멸, 사회주의 그림자美, 32만명 태운 비행기 논란불법입국자 급증에 여론 악화그 안에 깃든 사회주의 그림자한국도 강건너 불구경 아니다
Read more »
일제 불량품 '지방 소멸론'에 속지 마세요[서평] '지방소멸' 망령 비판, 진정한 지역재생의 길 제시, 박진도의 〈강요된 소멸〉
Read more »
노동인력 절벽 코앞…유학생 구직비자 만들어 외국인 수혈을중장기전략委 인구 대책유학생 장학금 지급 확대 등고급 인력 유치에 미래 달려외국인 비중 1%P 늘 때마다경제활동인구 32만명 늘어중구난방 저출생 현금 지원책가족수당으로 통폐합해 관리
Read more »
[매경데스크] 의사가 민희진씨를 왜 부러워할까민씨 상소리 기자회견에도가수·팬 '직의 본질' 향한 열정부정적이었던 여론기류 바꿔의사도 환자곁에서 가장 힘세
Read more »
“저런 사람이 돈버는건 괜찮나”…의사가 민희진씨를 왜 부러워할까 [매경데스크]민씨 상소리 섞인 기자회견에도 가수·팬 ‘직의 본질’ 향한 열정이 부정적이었던 여론기류 바꿔 의사도 환자곁 설 때 가장 힘세
Read more »
[매경데스크] 빌라發 주택시장 양극화 해법 찾아야전세사기 낙인 효과 후폭풍전세·매매 아파트 쏠림 심화공사비·고금리에 공급 부진다양성 깨져 주거안정 흔들자율주행차 등 미래 변화 대비주택 다양성 확보 강화 필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