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지역소멸이 저희들 잘못은 아니잖아요

United States News News

저출산, 지역소멸이 저희들 잘못은 아니잖아요
United States Latest News,United States Headlines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5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51%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는 이유... "지역엔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 "인프라 부족"

산업화와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지역간 인구이동은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호남권은 1975년부터 2020년까지 전 기간동안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는 지역이다. 광주시를 찾은 이유는 인구 순유출에 대한 현지인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서였다.

광주에서 문화콘텐츠 기획관련 회사를 운영하는 윤아무개씨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김 PD와 비슷한 연배의 윤 대표도 광주를 떠난 적이 없다. 김 PD와 윤 대표는 '노잼광주'가 아닌 청년들이 머물고 싶은 광주를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해오고 있다. "한마디로 미스매치죠. 청년들은 내가 좋아하는 일, 내가 행복하고 보람을 느끼는 일들을 하고 싶은데, 지자체는 대기업 공장을 유치해서 일자리 수를 얼마나 늘리겠다고만 이야기해요. 요즘 공장에서 일하고 싶은 청년들이 누가 있어요? 창의적인 일을 하고 싶은 청년들에게 단순업무를 하라고 하니까 지역을 떠나는 거죠."

인구 이동률이 가장 높은 20대의 이동경로를 살펴보자. 서울로의 순유입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세종, 인천, 대전, 경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20대의 이동물결은 광주를 떠난 청년들처럼 수도권과 충청권으로 향하고 있다. 순유출은 경남에서 가장 많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전남, 전북, 경북, 제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30대는 서울로의 순유입이 가장 많았던 20대와는 달리 서울에서 순유출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광주, 부산 순으로 나타났다. 30대의 순유입은 인천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그 다음으로 세종, 충남, 경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30대의 이동물결도 20대와 마찬가지다.2023년도 기준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가장 큰 이유는 주택이며, 그 다음으로 가족, 직업의 순으로 나타났다.

"저는 어렸을 때 TV에서만 보던 햄버거가 너무 먹고 싶었어요. 부모님을 따라 서울에 올라올 때마다 햄버거를 사달라고 졸랐어요. 지역을 왜 떠나 냐고요? 서울에서는 집 문을 열고 나가기만 하면 필요한 모든 것들이 갖추어져 있어요. 그런 인프라가 좋은 거지. 서울이 좋은 건 아니에요. 저처럼 비수도권, 농촌 출신이 서울에서 살려면 정말 힘들어요. 물가도 비싸고... 하지만 고향으로 내려가고 싶지 않아요. 거기선 못 살아요. 저출산, 지역소멸... 저도 위기의식을 느껴요. 안타깝기도 하고요. 하지만 그게 저희 '청년들' 잘못은 아니잖아요. 아이를 낳을 상황이 되야 낳는 거고 지역에 살만한 여건이 되어야 사는 거잖아요."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OhmyNews_Korea /  🏆 16. in KR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다닐 맛 나겠네”…주4일제·출산 1천만원·초봉 5천만원, 상시채용 ‘이곳’“다닐 맛 나겠네”…주4일제·출산 1천만원·초봉 5천만원, 상시채용 ‘이곳’저축은행 “인재 상시채용 중” 근무환경, 급여 크게 개선 저출산 극복…남성 육아휴직도 진심 채용형 인턴 경쟁률 100대1 스포츠단 운영…이색경험도 선사
Read more »

[시론] 저출산 해법, 네덜란드를 주목하는 이유[시론] 저출산 해법, 네덜란드를 주목하는 이유2015년부터 출산율이 떨어지기 시작한 것은 여성의 고용률이 늘어난 것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미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이 제정된 이래 대통령 직속으로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가 꾸준하게 활동해 왔는데 여태 그 원인을 찾지 못했다는 말인가. 그동안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은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가 20년간 활동하면서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Read more »

도서관 목격담·팬미팅·저출산 세미나…與당권 예비주자 ‘몸풀기’도서관 목격담·팬미팅·저출산 세미나…與당권 예비주자 ‘몸풀기’비윤 나경원·안철수 정책제언 당선·낙선인 만나며 勢모으기 윤상현 잇단 보수개혁 토론회 유승민 활동늘리며 출마 시사 최대관심사 한동훈 등판 여부 경선룰 놓고 벌써부터 신경전
Read more »

저출산 자문위원이 육아휴직 쓰고 알게 된 사실저출산 자문위원이 육아휴직 쓰고 알게 된 사실국책연구기관에서 육아휴직 썼더니 실적없다고 연봉 감액... 이의 제기에 '이유 없음' 통지
Read more »

저출산 위기 대책은 새마을운동이 아니다저출산 위기 대책은 새마을운동이 아니다[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젊은이 마음 얻을 진정성 있는 노력, 지금 시작되어야
Read more »

저출산 극복 골든타임 5~7년뿐…정부·기업 지원 총동원해야저출산 극복 골든타임 5~7년뿐…정부·기업 지원 총동원해야'인구 대역전' 못다한 이야기 / 이인실 한미연 원장 인터뷰출산율 반등 열쇠 쥔 에코세대일하면서 아이 낳을 수 있게2030女 유연근무제 확대 시급남성 육아휴직도 활성화해야기업의 출산 장려책 평가하는EPG 지표 만들어 6월께 발표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5 15:4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