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되어 차량으로 서울구치소로 이동했다.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과 관련해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59%, 기각해야 한다는 응답이 36%를 기록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로 선두를 달렸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경기 과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서 조사를 마치고 서울구치소로 이동했습니다.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과 관련해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59%, 기각해야 한다는 응답이 36%를 기록한 여론조사 결과가 16일 나왔습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3∼15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전국지표조사(NBS)를 진행한 결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탄핵을 인용해 파면해야 한다’는 응답은 59%였습니다. ‘탄핵을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는 응답은 36%였습니다. 탄핵 심판 의 진행 속도에 대해서는 66%가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답해, 국민 다수가 조속한 결정을 원하고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시간을 가지고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은 32%에 머물렀습니다.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에 대한 대응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평가가 높았습니다.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63%로 '잘하고 있다'(33%)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로 선두를 달렸습니다. 뒤를 이어 김문수 노동부 장관(13%), 홍준표 대구시장(8%), 오세훈 서울시장(6%),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5%) 등이 순위에 올랐습니다. 유보층은 26%다. 김 장관은 이번에 처음 조사에 포함됐습니다. 차기 대선 후보에 대한 호감도 조사에서는 이재명이 37%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오세훈(28%), 한동훈(24%), 홍준표(24%)가 뒤를 이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도 19%를 기록했습니다. 정권 재창출과 교체에 대한 여론 조사에서는 정권 교체를 희망하는 의견이 48%로, 정권 재창출을 지지하는 의견(41%)을 앞질렀습니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국민의힘이 35%, 더불어민주당이 33%로 초박빙의 구도를 보였습니다. 조국혁신당(8%)과 개혁신당(3%)이 뒤를 이었으며, 유보층은 17%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응답률은 22.8%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Yoon Seok-Yeol 탄핵 심판 이재명 대선후보 여론조사 정치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이재명, 압도적 1위 지지율…'1강(强) 구도' 깨지고 있는가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정상궤도, 조기 대선 가능성 증가
Read more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최태민 대통령 대행 - 한국 뉴스 정리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최태민 대통령 대행, 헌법재판소 심판 소재, 경제 및 국정, 사회 이슈
Read more »
윤석열 탄핵 심판 관련 허위 주장 팩트체크시민사회단체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관련 주장에 대한 팩트체크 결과를 공개하며 정면 반박.
Read more »
살자 판사 문형배, 윤석열 탄핵 심판 결과 결정문형배 헌법재판관은 과거 '자살' 판결로 유명했으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Read more »
윤석열 탄핵 심판 관련 주장, 시민사회 법률전문가 팩트체크윤석열 대통령 측의 탄핵 심판 지연 주장에 반박하는 탄핵 심판 관련 주요 쟁점을 팩트체크한 결과를 발표하는 비상행동(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의 기자 브리핑 결과를 소개합니다.
Read more »
이재명, 차기 대선 후보 선호도 압도적 1위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엠브레인퍼블릭 조사에서 35%로 차기 대선 후보 선호도 1위를 기록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