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매출 1억’ 네이버 입점 셀러만 4만여명 국내에 ‘온라인 셀러’라는 직업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은 건 2003년 구영배 큐텐 대표(전 G마켓 창업자)가 일반 사업자(셀러)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B2C)할 수 있는 이른바 ‘오픈마켓’을 국내에 도입하면서부터다. 11년째 온라인 셀러로 활동하고 있는 40대 남모씨는 '이커머스 초창기에는 상품 노출 등으로 수익이 올랐지만, 지금은 수익을 내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광고료 등을 추가로 내고 있다'며 '셀러들의 유입으로 성장한 기업이 역으로 셀러들의 고혈을 짜내고 있는 것'이라고 불평을 털어놓았다.
‘ 티메프 ’ 사태로 본 셀러의 세계 티몬· 위메프 정산금 미지급 사태가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온라인 셀러 는 1~2인 규모의 소규모 업체나 개인이 많아 미정산 사태가 장기화하면 곧바로 부도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셀러가 전국에 54만 곳에 이른다. 가뜩이나 알리익스프레스 등 C커머스에 밀려 고전하고 있는 셀러들은 이번 사태로 다시 한 번 위기를 맞고 있다. 박모씨는 지난해 대기업 K사를 그만두고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창업, 이른바 ‘ 온라인 셀러 ’로 전직했다. 온라인 셀러 는 이커머스 에 입점해 물건을 파는 상인을 일컫는 말로, 대개 중소기업이거나 소상공인이다. K사에서 이커머스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던 박씨는 “커머스 분석 경력으로 내가 만든 제품을 시장에 선보여 유통 전 과정을 직접 운영해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겨 전직을 결정했다”며 “온라인에서는 웹사이트만 있어도 제품을 판매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고, 재구매율이나 리뷰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오픈마켓 플랫폼과 셀러 간의 윈윈은 오래가지 못했다. 높은 접근성과 개방성, 무한경쟁이라는 오픈마켓의 장점이 되레 셀러에게는 약점으로 이용되면서 플랫폼과 셀러 간의 기형적 ‘갑을’ 관계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커머스 시장이 성장할수록 과도한 중개수수료율 부과, 할인 강요 등의 행위가 심화했다고 말한다.소자본으로 플랫폼에 의존하는 셀러들은 역마진을 감수하면서까지 판매를 지속할 수밖에 없었고, 거대 플랫폼이라는 지위와 정산금을 쥐고 있는 기업들은 이를 악용하기 일쑤였다. 11년째 온라인 셀러로 활동하고 있는 40대 남모씨는 “이커머스 초창기에는 상품 노출 등으로 수익이 올랐지만, 지금은 수익을 내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광고료 등을 추가로 내고 있다”며 “셀러들의 유입으로 성장한 기업이 역으로 셀러들의 고혈을 짜내고 있는 것”이라고 불평을 털어놓았다.
무한경쟁 이커머스 플랫폼 온라인 셀러 입점 셀러 티메프 티몬 위메프 정산금 미지급 이커머스 ‘티메프’ 사태로 본 셀러의 세계 BIZ & MONEY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5600억으로 못막으면 추가 지원” 정부 속도전…티메프는 동시다발 압수수색중기부는 온라인 쇼핑몰 40곳 실태점검 알짜 계열사 투자자 구 대표 손절 움직임도
Read more »
인터파크도서 서비스 중단···큐텐 한국 플랫폼 4곳 열흘 만에 초토화티몬과 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가 큐텐의 다른 계열사로도 빠르게 번지고 있다. 인터파크커머스 계열 인터파크도서가 영업을 중단했고, 인터파크쇼핑과 AK몰에서도 정산 지연이 시작...
Read more »
“항공권 갑자기 취소, 환불전화는 먹통”…티몬·위메프 ‘정산지연’ 쇼크최대 수백억 정산 못해 여행사 판매 중단 속출 큐텐그룹 자금난 의혹속 셀러·소비자 피해 가중
Read more »
경쟁보단 자기만족 … 힐링게임 열풍 [Cover Story]캐주얼게임 전성시대
Read more »
건설사 자금난에 공사중단 아파트…공매서도 줄줄이 ‘유찰’올해 HUG 공매공고 사업장 9곳 수차례 유찰되도 주인 찾은 곳 ‘0’
Read more »
[단독] 한국이 세계 1위 항공유, 새 시장 열리는데…생산공장 美 100개, 韓 0개전세계 전용 생산시설 320곳 미국 100곳, 중·일 10여곳 SAF 전용시설 한국은 0곳 친환경 항공유 공략 시급 4대 정유사 6조 투입 채비 정부도 활성화 정책 마련중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