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밸류업 ① 협치저출생 대책 다수 일치국회의원 무노동·무임금정치개혁 우선합의 가능
22대 총선 결과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범야권이 압승을 거두면서 정국이 요동치고 있다. 대통령의 국정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당에서도 분출되고 있다. 야권은 벌써부터 각종 특검법을 내세워 협공을 시작하는 모양새다. 야권이 이슈 주도권을 틀어쥘 경우 정부·여당이 추진해온 정책·개혁 과제가 표류할 것으로 내다보는 시각도 있지만, 다수 국민은 '협치'를 주문한다.
향후 여야 대치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매일경제신문이 총선 공약을 분석한 결과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건 정책 중 30여 건이 사실상 대동소이한 것으로 파악됐다. 매일경제는 각계 전문가 의견을 들어 22대 총선 이후 '국회 밸류업'을 위한 3대 어젠다로 △공통 공약 이행 △의원 실명 법안 활성화 △다선 중진 의원 역할 강화를 선정해 시리즈로 연재한다. 양당 공통 공약은 저출생, 고령화, 부동산, 세제, 정치, 산업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 걸쳐 있다. 민주당이 다시 다수당이 된 만큼 여당과 국정을 함께 이끈다는 개념으로 공통 공약부터 입법을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엄기홍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국회 내에 공통 공약 이행특별위원회를 만들어서라도 신속히 처리해야 한다"며"이것이 22대 국회가 민생국회가 되는 길이고 협치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개혁 공약도 유사한 측면이 많다. 특히 양당은 국회의원이 일을 하지 않으면 세비를 지급하지 않는 '무노동·무임금'을 공통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는데 22대 국회가 개원하면 즉각 처리할 수 있는 정책으로 꼽혔다. 국민의힘 출마자 전원이 동의했던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포기의 경우 의견이 갈리지만 무노동·무임금 원칙 도입에는 큰 이견이 없다. 서휘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치입법팀장은"국회의원에 대한 불신이 깊은 상황에서 윤리특별위원회 강화와 세비 삭감 등 이견이 거의 없는 정치개혁 공약부터 먼저 처리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배우자 출산휴가 1개월 유급 의무화, 언제부터...여야 공통공약 살펴보니여의도정치 수준 높이려면 쟁점없는 법안 처리엔 속도내야 일하는 국회가 정치불신 잠재워 인구소멸지역 주택, 주택수 제외 단통법 폐지에도 여야 의견 합치
Read more »
용인시, 반도체클러스터 조성 원삼면 주민 지원 협약 순항13건 가운데 2건 완료 7건 추진 중 …나머지 4건은 사업시행사와 SK측서 단계별 이행
Read more »
민주 '정권 심판' vs. 국힘 '운동권 심판' vs. 녹색정의 '양당 독재 심판'충북 지역 여야 공식선거운동, 시작... 여야 지역도당 출정식
Read more »
“전셋값에 허리 휠 지경”…18평 아파트에 월세 내고 사는 젊은층월세 거래량 8221건 중 소형 5241건 전용 60㎡ 이하가 가장 많아
Read more »
민주당 '참패 부산엑스포 국정조사 추진'에 발끈한 국힘부산 총선 쟁점으로... 국힘 소속 시의원들 "정쟁 안 돼"-서은숙·박재호 "29표 비밀 풀자"
Read more »
총선 사전투표 시작...여야 지지층 끌어내기 '총력전'[앵커]사전투표의 막이 오르면서 여야 모두 각자 지지층을 상대로 투표 독려 총력전에 나섰습니다.여야 취재하는 YTN 정치부 기자 연결해 총선 관련 소식 들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