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 1029 모두 잊을 수 없는 숫자들입니다. 2014년 4월16일 우리는 세월호 사고로 304명의 생명...
모두 잊을 수 없는 숫자들입니다. 2014년 4월16일 우리는 세월호 사고로 304명의 생명을 하늘로 떠나보냈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준비했어야 했음에도 2022년 10월29일 이태원 참사로 또다시 159명을 하늘로 떠나보내야만 했습니다.
경향신문의 유튜브채널 ‘이런 경향’의 뉴스 해설 콘텐츠 ‘경향시소’에서는 세월호 희생자 신호성군의 어머니 정부자씨와 이태원 참사 희생자 이재현군의 어머니 송해진씨를 모시고 ‘보다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시민들의 노력에 대해 이야기 나눴습니다. 세월호 유족들은 10주기를 앞두고 있고 이태원 참사 유족들은 1주기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자식을 먼저 떠나 보낸 부모님들은 몸과 마음이 병들고 있습니다. 정부자씨는 “한 쪽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상태지만 모두가 아프기 때문에 나 아프다고 말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말했고 송해진씨는 “여전히 가족 단톡방을 들여다보며 아파하고 있다”고 말합니다.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기 위한 생명안전공원은 장소가 결정됐음에도 착공이 미뤄지고 있고, 물가 상승에 의한 예산 증가로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검사 대상이 되는 바람에 또다시 미뤄졌습니다. 현재로서는 내년 10주기가 되어서도 공사를 시작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태원 참사 역시 26일 우여곡절 끝에 ‘기억과 안전의 길’이 만들어졌지만 특별법 제정까지는 먼 길이 남아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해야 할 정치권은 당리당략에 따라 정쟁의 대상으로만 삼을 뿐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서지 않습니다. 이 과정 속에서 ‘모두가 안전한 나라’는 여전히 요원한 상태입니다.경향시소 구독 세월호 유족 정부자씨는 “전국을 돌며 간담회를 하다가 중고생들로부터 ‘그럼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나요’라는 말을 듣고 눈물을 흘렸다. 꿈을 꿔도 부족한 아이들이 왜 이런 고민을 해야 하나. ‘우리가 싸울게. 너의 꿈을 찾아서 열심히 살아’라고 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합니다.참사이태원안전세월호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불교계, 최종 판결 앞둔 금동관음보살좌상 환수 염원 성명부석사 원우 스님 "약탈문화재 소명 책임은 뺏긴 우리가 아닌 점유자가 해야 한다"
Read more »
이태원 유족, 모교에 조의금 전액 기부···“기부 버튼을 꼭 누르던 아들의 뜻”이태원 핼러윈 참사 희생자인 고 신한철씨(당시 27세)의 유족이 고인의 모교에 조의금 전액을 기...
Read more »
‘이태원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 서울광장서 열린다오는 29일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아 유가족협의회와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가 개최하는 시민추모대회가 서울광장에서 ...
Read more »
이태원 참사 골목에 조성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정동길 옆 사진관]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둔 26일 참사가 발생했던 서울 이태원 해밀턴호텔 옆 골목에 ‘...
Read more »
[논설위원의 단도직입] “참사 반복되는 사회, 구조적으로 바꿔 안전할 권리 보장받아야”“세월호 참사로 아이를 잃은, 단원고 2학년 9반 진윤희의 엄마.” 3년째 4·16 세월호 참사 진...
Read more »
'오염수 방류 계속되는데...' 불안에 떠는 시민들이 모였다대전탈핵공동행동,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우리는' 개최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