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전공의 부재로 인한 의료공백 위기가 불거질 때마다 군의관과 공보의를 앞세워 대응해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응급실 뺑뺑이’ 사례가 터져나왔을 때도 서둘러 내놓은 대책...
정부는 전공의 부재로 인한 의료공백 위기가 불거질 때마다 군의관과 공보의를 앞세워 대응해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응급실 뺑뺑이’ 사례가 터져나왔을 때도 서둘러 내놓은 대책 중 하나가 군의관·공보의 추가 파견이었다. 그러나 군의관·공보의가 전공의 업무를 도맡기 어려운 데다, 가장 취약한 지역의료를 떠맡고 있는 공보의를 수도권 중심 수련병원에 파견하는 것이 지역 의료공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25일 대형병원에서 파견 공보의·군의관과 일한 경험이 있는 의료진의 의견을 종합하면, 대부분의 군의관들은 역량이나 책임 소재 등의 문제로 전공의 업무를 대체하기 어렵다. 서울의 한 대형병원 관계자는 “우리 병원에도 군의관 두 명이 왔었는데 그중 한 명은 운좋게 레지던트 과정을 우리 병원에서 한 경우라서 바로 여러 업무에 투입돼 큰 도움이 됐고, 다른 한 명은 신경외과 전문의로 신경외과에 배치됐음에도 거의 일을 못하고 돌아갔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전공의의 핵심 업무는 진료·처치·수술이라 한 명의 환자를 다 맡아서 치료할 수 있어야 도움이 되는데, 파견 인력은 의료사고 시 책임 소재 문제 때문에 수술방 투입 등 환자 진료에 제약이 많다”고 말했다.
지역 거점병원인 대형병원에서 일하는 한 교수는 “공보의와 군의관 여럿이 파견 왔었지만, 큰 도움은 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군의관들이 오면 주로 하는 일이 환자 동의서 작성, 채혈, 콧줄 삽입”이라며 “응급실 근무, 중환자실 환자 케어, 당직 등 전공의들이 하는 주요 업무를 나눠서 맡을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달 말 소속 교수 217명에게 파견 공보의·군의관이 진료 부담 해소에 도움이 됐는지 물은 결과 30.9%만 ‘그렇다’고 답했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답변은 31.8%로 비슷했다. 비대위는 “ 중증도가 높은 환자의 진료에 섣불리 참여하였다가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 생길까 두려워 피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군의관·공보의 파견에 대해 애초에 한계가 명확한 ‘보여주기식’ 정책이었다고 지적했다. 정형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사무처장은 “한국은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의사가 너무나 적기 때문에 코로나19 등 재난이나 위기 때마다 동원할 수 있는 공적 시스템상의 의사가 공보의·군의관밖에 없다”며 “문제는 이 시스템 자체가 너무나 취약하고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공보의·군의관을 동원해서 의료공백을 줄였다고 하는데, 지역에서 노인들 만성질환을 관리하던 공보의들을 빼서 지역의료를 공백 상태로 둔 것이나 군 의료인력을 상시적으로 200명을 뺀 것은 의료공백이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단독]7개월간 군의관·공보의 1800여명 투입···“큰 도움 안되고, 군 의료공백만 키워”정부가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공백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군의관과 공보의 등 약 1800여명의 군 의료인력을 대형병원에 투입해 대응한 것으로 확인됐다. 군의관...
Read more »
‘응급실 업무 부적합’ 이대목동병원, 파견 군의관 3명 돌려보냈다정부가 응급실 의료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서 군의관들을 의료기관에 파견하고 있으나, 현장에 나갔던 군의관들이 응급실 업무가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하고 기존 근무지로 돌아가는 ...
Read more »
응급의학 군의관도 “응급실 업무 어렵다” 복귀요청··· 군의관 파견 차질정부가 응급실 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서 군의관들을 응급실 중심으로 파견하고 있지만, 현장 파견된 군의관들이 응급실 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해 복귀하는 사례들이 잇따르고 있다...
Read more »
군인권센터 '응급의료 문제에 효과 없는 '군의관 땜빵'...파견 중단하라''군의관 공백으로 마비된 군 의료체계는 무슨 수로 막을 건가'
Read more »
응급실 군의관 235명 추가 투입…이날 150명 우선 배치(종합)(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정부가 9일부터 응급실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의료기관에 군의관 235명을 순차적으로 추가 투입한다.
Read more »
응급실 군의관 파견도 혼돈…이대목동병원 군의관 3명 되돌아가정부가 의료인력이 부족한 응급실에 군의관을 배치했지만, 이대목동병원과 세종충남대병원 응급실에 파견된 군의관들이 응급실 근무에 적합하지 않다며 기존 근무지로 복귀하는 등 현장은 혼선을 빚고 있다. 5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 설명을 종합하면, 이대목동병원에 전날 배치된 군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