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에 전국의 산부인과 10곳 중 9곳에서 신생아 출산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와 전남에서는 2022년부터 3년째 분만수가를 청구한 산부인과 기록이 없었다...
올해 상반기에 전국의 산부인과 10곳 중 9곳에서 신생아 출산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와 전남에서는 2022년부터 3년째 분만수가를 청구한 산부인과 기록이 없었다. 저출생이 심화하면서 출산 건수 자체가 크게 줄고, 산부인과도 감소하면서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병원을 점점 찾기 어려워지는 추세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산부인과 의원 중에 올해 1~7월에 분만수가를 청구하지 않은 의료기관 비율이 88.4%였다. 2018년보다 6.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올해 7월까지 분만수가 청구가 월평균 1건도 되지 않는 지자체도 10곳에 달했다. 대구 서구, 경기 안양 만안구, 강원 영월군·태백시, 전북 고창군·김제시, 전남 고흥군·완도군, 경북 포항 남구, 경남 하동군 등이다. 광주와 전남의 경우 2022년 이후 분만수가를 청구한 산부인과 의원이 한 곳도 없었다. 2022년 기준으로 광주에는 산부인과 의원이 36곳, 전남에는 18곳이 있다.
종합병원급의 큰 병원 중에 산부인과를 아예 두지 않는 곳도 10%를 넘어섰다. 100병상 이상 종합병원 331곳 중 11.5%가 산부인과를 두지 않았다. 의료법상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인 경우에는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이 있어야 하는데 산부인과 대신 다른 필수의료과를 두는 것이다. 추석 연휴였던 지난 14일 충북 청주에서는 25주 임산부가 양수 유출로 병원에 내원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으나 75개 병원의 수용 거부로 신고 접수 6시간 만에 치료를 받기도 했다. 이 때문에 분만 의료기관수는 2018년 555곳에서 올해 425곳으로 130곳이 줄었다.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분만의료기관 수가 줄고 있는 추세다. 박희승 의원은 “저출생은 물론 산부인과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 부족으로 산부인과 의사와 분만 의료기관이 줄고 있다”며 “안정적인 출산 환경 조성과 응급상황 대처를 위해 지역별 분만 인프라가 유지·확충돼야 한다”고 말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취업준비 어떻게 해야하나”…대기업 60%, 하반기 신규채용 없거나 미정한경협, 매출액 500대 기업 대상 조사 수시채용 확대…10곳 중 7곳 ‘수시 활용’
Read more »
대기업 10곳 중 6곳 “하반기 채용 계획 없어”…수시채용 늘 듯올해 하반기 대기업 채용 시장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 10곳 중 6곳은 하반기 채용 계획이 없거나 아직 수립하지 못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하반기 수시 채용을 하...
Read more »
“유니폼 입은 여공들 있던 곳 어느새”…한강의 기적 이끈 ‘이곳’ 대변신1호산단 서울디지털단지 르포 입주사 10곳 중 6곳 ICT 기업 공단은 옛말, 첨단산업 캠퍼스 사람·문화 결합, 청년들 북적
Read more »
“임의규정일 뿐”…전국 기초단체 226곳 중 인권센터 겨우 11곳조례를 통해 인권센터 설치 규정을 마련한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절반 이상이 인권센터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임의규정으로 인권센터 규정을 만들었기 때문인데, 일부는 인권센터 설치를 강제했더라도 설치하지 않거나, 사실상 해체하기도 했다. 21일 한겨레가 인
Read more »
대기업 10곳 중 6곳 '올 하반기 신규채용 없거나 계획 미정'(서울=연합뉴스) 한상용 기자=글로벌 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우려와 같은 경영 불확실성 확대로 올해 하반기 대기업 채용 시장이 여전히 어두울...
Read more »
기업 10곳 중 8곳 “필요하다” 호소에도…활용 어렵다는 이것 뭐길래우리나라 기업 10곳 중 8곳이 경영활동에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실제 활용률은 30%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500개사의 AI 기술 활용 실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 기업의 78.4%가 ‘생산성 제고, 비용 절감 등 성과 향상을 위해 AI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다만 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