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혜선 선생의 연구 논문을 통해 백제시대의 등잔에서 발견된 기름부터 현대의 석유 정제 산업까지, 한국의 기름 역사와 그 속에서 보여지는 경제 발전을 살펴본다.
곽재식의 세포에서 우주까지 GS칼텍스는 지난해 대한항공과 바이오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SAF)시범 운항을 실시했다. 요즘은 스위치만 누르면 전등이 켜지는 것이 당연한 세상이지만, 옛날에는 밤을 밝히는 일이 쉽지는 않았다. 고대로부터 사람들이 꾸준히 사용해 온 조명 기구는 기름을 채워 놓은 용기에 심지를 넣어 불을 붙이는 등잔이다. 그런데 그을음이나 연기 없이 오랫동안 불을 밝힐 수 있는 기름을 구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유혜선 선생이 2003년 고대 백제 시대의 등잔에 남아 있는 기름의 지방산 분석을 시도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옛 백제 사람들은 등잔을 밝히기 위해 들기름 등을 사용했고, 특이하게도 사슴 고기에서 짠 기름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백제 등잔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등잔에 관한 한국의 옛 기록 중 인어 기름 이야기도 있다.
인어라고 하면 덴마크의 안데르센이 쓴 동화나 유럽의 인어 전설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텐데, 『어우야담』 『고운당필기』 등의 조선 시대 책들에도 전국 곳곳을 배경으로 하는 인어 전설이 실려 있다. 조선의 전설 속에서 인어는 해산물의 하나로 취급되는 일이 많았다. 유럽의 인어 전설처럼 신비한 마법과 연관되는 이야기보다는 “고기가 맛있다” “귀한 놈을 잡았다”는 식으로 사람을 닮은 희귀한 물고기를 잡았다는 류의 이야기들이 많다. “인어 고기의 기름을 짜면 고래 기름보다도 더 질이 좋다”는 설명도 간간이 등장한다. 전설 속 인어의 정체가 무엇인지는 알기 어렵지만, 조선 시대 사람들이 고래 기름을 아주 좋은 기름의 대표로 꼽았다는 사실은 충분히 알 수 있다. 산골 사람이 부산서 횟집 차려 성공한 셈 아닌 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고래사냥이 활발히 이루어지던 시절, 사람들은 주로 고래를 잡아 그 기름을 짜 쓰기 위해 포경업에 종사했다. 특히 19세기 미국의 포경업은 한때 크게 번성했다. 허먼 멜빌의 명작 소설 『모비 딕』은 그런 배경에서 탄생했다. 요즘이야 몇몇 지역에서 고래 고기가 별미로 팔리는 곳이 있다지만, 19세기 미국인들은 고래 기름을 짜내고 고기는 그냥 비료로 밭에 던져 버릴 정도였다. 들기름, 사슴 기름 정도를 사용하던 백제 시절만 해도 한국과 다른 나라 간의 기술 격차는 그리 크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19세기 유럽, 미국 등의 선진국들과 조선의 격차가 크게 벌어졌음은 기름 사용하는 것 하나만 봐도 알 수 있다. 대양을 항해하며 먼바다에서 거대한 고래를 대량으로 잡아들여 사용하던 나라들과 그런 기술을 갖지 못한 조선의 격차는 클 수 밖에 없었다. 독일의 옛 제철소에서 열린 전시회에 투사된 범고래의 모습. 세계 산업이 다시 한번 변화한 것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고래사냥이 점차 힘들어지고 고래 기름 가격이 오르는 일이 발생하면서부터다. 마침 그 무렵, 땅속에서 캐내는 석유를 가공하면 좋은 연료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 점차 사업성을 얻고 있었다. 그와 함께 자동차, 트럭같이 석유로 움직일 수 있는 여러 기계도 같이 개발되기 시작한다. 석유 산업의 성장과 고래사냥의 퇴조는 거의 비슷한 시기에 벌어졌다. 요즘과 같은 석유 세상이 찾아온 것은 부분적으로는 고래가 잘 잡히지 않게 된 데 따른 것이란 말도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석유를 캐내고 가공하고 활용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경제가 완전히 재편되던 그 무렵은 조선이 멸망해 사라지던 때이기도 하다. 그러나 대한민국 경제가 발전하면서 한국인들은 좋은 기름을 확보하는 기술을 따라잡았다. 비록 한반도에서 석유가 생산되지는 않지만, 외국에서 수입한 석유를 가공·분리·정제해 휘발유·등유·중유와 같은 실제로 쓸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기술을 잘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석유 정유 시설 규모는 대체로 세계 5위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의 정유 산업은 굉장한 규모의 수출 산업이기도 하다. 많은 양의 석유를 수입하고 그것을 정제해 휘발유 등의 제품을 만들어 다시 외국에 수출하는 양이 무척 많기 때문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등잔에서 석유까지: 기름의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의 과거와 현재고대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기름 사용 역사, 백제 시대의 등잔에서부터 인어 전설, 고래사냥, 그리고 석유 산업의 발전까지 살펴봅니다.
Read more »
사랑과 미움, 그리고 공감: 언어를 통해 본 감정의 스펙트럼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 졸업 및 서울대학교 언어학 석사 수료자로서, 다양한 번역 및 언어 자문 활동을 통해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진 저자. 그는 다양한 언어와 관련된 저술 활동을 하며, 사랑과 미움, 공감 등 감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논의한다.
Read more »
민희진 사임에 어도어 “안타까워”...짧고 간결한 수용 [종합]“뉴진스 성장 발전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
Read more »
10월 수출 4.6% 증가…반도체·車 수출 역대 10월중 최대(종합)(세종·서울=연합뉴스) 차대운 이슬기 기자=한국의 10월 수출이 4.6% 증가하면서 13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Read more »
“7명 우르르…어이 없어 내쫓았다” 2030 임장크루에 속앓이하는 부동산들실매수 목적인 것처럼 매물 본 뒤 연락두절 중개소 “힘들다”…청년들 “어차피 잠재고객”
Read more »
'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엄포 … 방위비 올리려는 협상카드' [다시 트럼프 시대]한미관계 긴급좌담회 ① 美전문가들이 본 한반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