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단순 이념 문제 아닌 국익·외교 문제... 주권회복 출발점"
국립묘지법 개정안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친일반민족행위를 했다고 결정된 사람을 안장 대상에서 제외하고 국가가 직권으로 이장 명령을 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이를 안장대상심의위원회를 통해 심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골자다. 또한 상훈법 상 친일반민족행위를 한 것으로 결정된 사람의 서훈을 취소하는 내용도 포함시켰다.
이에 국가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친일반민족행위를 한 것으로 결정된 사람에 대해서는 동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해 모든 예우와 지원을 받을 수 없도록 이장 근거를 마련케 했다. 김용만 의원은"우리 민족의 한으로 남아있는 친일 청산은 지금까지도 우리 일상생활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면서"역사는 단순히 이념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주권과 국익, 그리고 외교 문제인 것"이라고 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21대서 22대 국회로... '이어달리기' 시작한 의원들민병덕·위성곤·백승아·김윤·김용만·김남희, 자동폐기된 법안 이어 발의 약속
Read more »
평양서 김구 맞이한 첫사랑…김일성에 철저히 이용당했다만약 김구와 그의 일행이 회의를 파탄시키고 퇴장하면 그때는 그들을 미국 간첩으로 몬다는 계획까지 수립했다.(『레베데프 비망록』, 1948년 4월 19일) '귀국 후 별별 짓을 다 하던 김구가… 이전에는 꿈에도 생각하지 않던 것이 이제는 미 제국주의자들의 입에 먹히게 되니까 당황하여 평양에 오려 한다'(『조선노동당대회자료집』(1), 1980, 262쪽)는 것이 당시 북한 지도자들의 눈에 비친 김구의 모습이었다.
Read more »
[단독] 중국 산 속 '김구 공관' 발견…정부는 5년 전 알고도 외면[앵커]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일본의 추적을 피하다 마지막으로 자리 잡은 중국 충칭. 이곳에서 백범 김구 선생이 머물렀던 걸로 보이는 공관입니다. 지금까지 국내에 알려지지 않았던 장소인데, JTBC 취재진이 처음
Read more »
레닌 금괴가 임정 갈랐다…이승만-김구 ‘결별’ 세 장면「 〈제1부〉 이승만과 김구의 만남과 헤어짐 」 「 ② 상하이 임시정부의 비극 」 이제까지의 3·1운동사 연구는 민족 정기와 진압 과정에 매몰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임시정부로서는 일국의 대통령이 이래도 되는가 하는 생각을 했고, 결국 아예 대통령이 자신의 임의대로 직책을 함부로 떠나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대한민국 임시 헌법’(1919. 9. 11.) 제16조에 ‘임시 대통령은 임시의정원의 승낙 없이 국경을 함부로 벗어나지(擅離) 못함’이라고 못을 박았다. 이승만은 미국에서 외교우선주의에 따라 활동하던 시기에 지난날의 은사인 미국의 대통령 윌슨(W Wilson)에게 '국제연맹이 한국을 위임 통치해줄 것'을 요청했다.
Read more »
누가 장덕수를 암살했나…이승만·김구 그때 갈라섰다「 〈제3부〉송진우와 장덕수, 중도파의 비극적 운명 」 「 ②친탁·반탁 대립의 희생자 장덕수 」 신탁통치 논쟁에서 가장 아까운 것은 극우의 반탁과 극좌의 찬탁 사이에서 묻힌 중도파 인물들의 목소리였다. 지금 일부 김구를 숭모하는 사람은 '이승만이 김구를 죽였다'고 내놓고 말하고 있고, 이에 질세라 이승만 측에서는 '김구가 장덕수와 여운형을 죽인 것'으로 믿고 있다. ■ 목차 「 〈제1부〉 이승만과 김구의 만남과 헤어짐 〈제2부〉여운형과 김규식의 만남과 헤어짐 〈제3부〉 송진우와 장덕수, 중도파의 비극적 운명 」 [참고문헌] 동아일보 1947.
Read more »
'친일파 민영휘 첩과 아들의 무덤이 사라졌다'충북인뉴스 김남균 기자, 신간 출간... 민영휘 일가 은닉재산 환수와 파묘 과정 다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