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울토마토 42%↑·참외 36%↑ 날뛰는 과일 가격에 장바구니 헐렁
방울토마토, 참외 등 주요 과일 가격의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과일가격의 급등은 장바구니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데 기후변화, 에너지가격 강세 등과 맞물려 있는 문제여서 해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2019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간의 평균치인 평년 가격과 비교하면 50.2% 비쌌다.다른 과채류도 1년 전과 비교하면 가격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멜론은 1개에 1만5950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16.8%, 27.9% 올랐다. 토마토는 1㎏에 5880원으로 1년 전보다 12.6% 비싸고 평년보다 20.7% 올랐다. 수박은 1개에 2만4659원으로, 1년 전보다 19.2% 올랐고 평년과 비교해 20.9% 비쌌다.사과 10개 소매가는 2만6851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하면 각각 12.5%, 3.9% 올랐다. 배 소매가는 10개에 4만9516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79.8%, 평년과 비교하면 34.0% 비쌌다.
전반적으로 소비자 물가가 안정되는 가운데 과일 가격만 나홀로 급등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축산물과 수산물은 각각 0.3%, 0.4% 오른 데 그쳤지만 농산물은 20.3%나 뛰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9% 올랐는데 이중 농산물이 0.76%포인트의 인상분을 차지했다.앞서 지난 12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중앙은행이 곤혹스러운 점은 사과 등 농산물 가격이 높은 것은 기후변화 등의 영향이라는 것”이라며 “금리나 재정으로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근본적으로 기후변화 등이 심할 때 생산자 보호정책을 계속 수립할 것인지, 아니면 수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국민의 합의점이 어디인지 등을 생각해봐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과일·채소 물가 급등은 이상 기후에 따른 작황 부진뿐 아니라 하우스 등 시설재배 비중이 커지면서 에너지 가격과 농산물 가격이 연동되는 경향, 유통 구조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밀가루 등 곡물의 수입 의존도 역시 높기 때문에, 앞으로 중동 사태가 장기화하고 이상기후가 더 잦아질수록 우리나라 물가는 식품·에너지를 중심으로 관리하기 점차 더 어려워지는 취약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가성비' 성심당, 파바 영업이익 제쳤다작년 영업익 315억원 달성매출도 1년새 52%나 급증'딸기시루' 등 이색 빵 승부대전에만 매장 운영해 효율화
Read more »
“미워도 다시 한번”…8만전자 깨진 삼전 매수 버튼 눌렀다[주식 초고수는 지금][수익률 상위 1% 투자자 1시30분 거래동향] 오전 이어 오후도 한미반도체 ‘매도’ 3거래일 연속 오른 SM엔터도 팔아치워
Read more »
[점선면] [Deep] 🍎 사과, 비싼데 수입하면 안 될까?금사과, 그 다음은
Read more »
반도체 봄은 왔는데 이차전지는 언제쯤…“2분기도 어렵다”LG에너지솔루션, 전일 연고점 대비 42%↓ 1분기 이어 2분기 실적 전망도 어두워
Read more »
“촌스럽기는, 난 드러내지 않아”…로고 없는 ‘이 명품’ 매출 1년새 3배신명품 트렌드 이끄는 ‘엔폴드’ 매장 오픈 신세계百 타임스퀘어점에 국내 4번째 올드머니룩 유행에 작년 매출 155% 쑥 올해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3배 늘어나
Read more »
고물가에 경기침체 계속되자 자영업자 5년만에 최소 증가1년새 9.7만명 늘어 303만명통신판매는 6만명 넘어 최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