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4개월 연속 증가해 6000건에 달했다. 부동산 경기가 과열됐던 3년 전 거래량과 거의 비슷하다. 이미 한 채당 평균 매매가격은 역대 최고가를 넘어섰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과 공급 부족 우려, 전셋값 상승 등이 맞물려 매입 수요를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집값 안정을 낙관하고 있을 한가한 단계는 지났다. 완만한 상승은..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4개월 연속 증가해 6000건에 달했다. 부동산 경기가 과열됐던 3년 전 거래량과 거의 비슷하다. 이미 한 채당 평균 매매가격은 역대 최고가를 넘어섰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과 공급 부족 우려, 전셋값 상승 등이 맞물려 매입 수요를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집값 안정을 낙관하고 있을 한가한 단계는 지났다. 완만한 상승은 괜찮지만 집값 폭등은 정권이 흔들릴 정도로 민심이 예민하게 반응한다.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당장 집값 대응에 나서야 한다. 특히 획기적인 세제와 금융 대책이라도 내놔야 할 것이다.
8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등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4월 4338건에서 5월 5182건, 6월 6000여 건으로 급증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성남·과천·하남 등 서울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서울 아파트값은 3월 말 이후 15주 연속 올라 5월 기준 평균 거래가가 12억원에 달한다. '미친 집값'이었던 3년 전보다 1억원 이상 웃돌고 있다. 이처럼 집값 불안이 재연된 데는 일관성 없는 정부 정책 탓이 크다. 말로는 가계대출이 비상이라면서 신생아 특례와 버팀목·디딤돌 대출로 대출 수요를 더 부추겼다. 또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을 돌연 늦춘 것도 무주택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했다. 이제 시중 5대 은행의 주담대 금리마저 2%대까지 떨어져 '영끌'이 재연될 우려도 있다. 6월 주담대 잔액은 5조467억원이나 늘었는데, 7월 들어서도 꺾이지 않고 있다.
가계대출이 급증하면 소비 여력이 떨어져 내수도 살리기 어렵다. 집값 거품마저 꺼지면 가계 파산도 피할 수 없다. 그동안 시장이 '집을 사라'는 뜻으로 정부 정책을 오해했다면 당장 바로잡아야 한다. 늦췄던 DSR 시행을 앞당기는 방안도 재검토해볼 만하다. 단기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우량한 도심 개발 사업은 PF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집값 안정을 위해 필요하다면 다주택자 보유세나 거래세에 대한 부담 완화 방향도 전면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23명 목숨 앗아간 참사... 정부가 다섯 가지를 안 했다[소셜 코리아 연속기획] 중대재해 막을 수 있다③ - 획기적 감소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
Read more »
DSR 대출 규제 돌연 연기, 집값 과열 부추겨선 안된다 [사설]금융위원회가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시행을 두 달 연기해 9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했다. 스트레스 DSR은 변동금리 대출 때 향후 예상되는 금리 상승을 미리 가산금리 형태로 반영해 대출 총액을 줄이려는 제도다. 정부는 가계빚 억제를 위해 지난 2월 1단계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스트레스 DSR을 도입한 데 이어 오는 7월부터..
Read more »
강북도 3.3㎡당 분양가 5000만원, 집값 급등 이어져선 안돼 [사설]서울 강북 아파트의 3.3㎡당 분양가가 5000만원을 돌파했다. 다음달 청약에 나서는 서울 마포구 공덕동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의 3.3㎡당 평균 분양가가 5150만원으로 책정됐다. 하반기 분양할 서울 성동구 행당동 '라체르보 푸르지오 써밋'의 3.3㎡당 분양가도 5000만원을 넘길 전망이다. 분양가 급등은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Read more »
“이러다 정말 나라 망한다”…한국人 합계출산율 ‘8분의 1’로 추락 ‘충격’한국 6→0.78명 OECD ‘꼴찌’ “출산율 획기적 반전 힘들터”
Read more »
[사설] 꿈틀대는 집값·전셋값, 부동산 시장 불안 잘 관리해야그 결과 지난달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1년 전보다 4% 이상 올랐다. 부동산 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7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전세 매물(2만8238건)은 1년 전보다 19.1% 감소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2017년부터 올해까지 약 87만8000호의 주택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며 '이런 주택 공급 감소세가 이어진다면 2025~2026년 집값 폭등이 다시 올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이 과장으로만 들리지 않는 이유다.
Read more »
[사설] 오락가락 금융규제에 들썩이는 집값, 전시행정이 부추긴다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급증세를 보이자 금융당국이 은행권 다잡기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일 금감원 본원에서 17개 국내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들과 가계부채 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