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면형패널 관세면제조치 폐기 한화큐셀등 美투자기업 청원수용 중국산 태양광 제품 우회하는 베트남 등 동남아 4개국서 모듈 수입품에 관세유예 종료
모듈 수입품에 관세유예 종료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을 겨냥해 양면형 태양광 패널 관세를 부활시키고 중국산 우회수출 통로로 의심되는 동남아 4개국 태양광 모듈에도 관세를 부과한다. 미국은 지난 14일 중국산 태양전지 관세를 25%에 50%로 인상한 데 이어 태양광 수입품 전반에 강력한 빗장을 걸어잠그고 있다.
백악관은 16일 미국의 태양광 제조를 강화하고 중국의 불공정 무역으로부터 기업·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양면형 태양광 패널 관세면제 조치를 즉각 폐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은 수입산 태양광 패널에 14.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만 대형 전력 프로젝트에 주로 들어가는 양면형 패널의 경우 예외를 인정받아왔다. 이로 인해 값싼 중국산 양면형 태양광 패널이 미국으로 대거 유입되고 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백악관은 “양면형 태양광 패널이 미국 수입품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며 “무역법 201조에 근거한 세이프가드에 따라 불공정한 수입품으로부터 미국 태양광 제조업체들을 보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화큐셀은 지난 2월 미국무역대표부에 “양면형 모듈의 수입급증으로 대미투자를 위한 시장여건이 악화됐다”며 태양광패널에 대한 관세면제 폐지를 청원한 바 있다. 한화큐셀은 미국 조지아주에 대규모 태양광 모듈 공장을 신설했다. 이에 대해 퍼스트솔라 등 미국에 공장을 둔 태양광 제조기업 7곳도 지지를 표명한 바 있다.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국내 태양광 제조기반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과도기이던 2022년 6월 동남아 4개국으로부터 태양광 모듈 관세를 24개월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며 “그 사이에 미국 태양광 투자가 급증한 만큼 약속대로 6월6일 관세 유예조치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산 제조업체들이 미국의 반덤핑·상계관세를 회피하려고 동남아시아를 우회하는 것을 막고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강조했다.아울러 백악관은 “미국 태양광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지 않도록 수입패턴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불공정 행위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중국산 전기차 발도 못들이게”…단번에 관세 100%로 4배 올린 미국“美,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100%…4배 인상 방침”
Read more »
대선 앞둔 바이든, 중국에 '관세 폭탄'... 무역전쟁 열리나미,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100% 대폭 인상
Read more »
바이든, 대선 앞두고 '中연쇄폭격'… 태양광·2차전지도 정조준중국산 전기차 관세 대폭인상경합주 표심공략 선명성 경쟁2차 무역전쟁 공언한 트럼프바이든도 잇단 강경책 쏟아내대선 누가 이기든 G2갈등 격화韓완성차 영향은 일단 제한적원자재까지 관세 올리면 악재배터리·태양광 반사이익 기대
Read more »
[속보] 美,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100%·태양전지 25→50% 대폭 인상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바이든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하기로 했다. 또 철강·알루미늄 및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관세도 25%로, 반도체와 태양 전지의 관세는 50%로 각각 큰 폭으로 올리기로 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대(對)중국 첨단기술 수출통제 조치 등에 이어 고율의 관세 부과에도 나서면서
Read more »
美,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테슬라 3%상승[월가월부]바이든, 중국에 관세 폭탄 中전기차 관세 25→100% 반도체·태양전지 25→50% 철강·알루미늄·배터리 0~7.5%→25%로
Read more »
현대車·LG엔솔 '이참에 중국산 흑연 대안 마련'… 트럼프 당선 땐 혼돈美 IRA 세액공제 배제 유예천연흑연 중국산 비중 97%2027년 IRA 유예기간 동안인조흑연 확대·수입 다변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