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노동자들의 한이 서린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이 지난 27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사도광산의 어두운 역사의 큰 피해자인 한국 정부가 순순히 일본 손을 들어줬기 때문이다. 세계유산 등재는 한국과 일본 등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
원국이 모두 동의해야 가능하다.
외교부는 “전체 역사를 사도광산 현장에 반영하라는 세계유산위 결정을 일본이 성실히 이행하기 위한 선제적 조처를 할 것을 전제로 등재 결정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사도섬 내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 당시 조선인의 열악한 노동 현실을 보여줄 6.2평짜리 전시실을 28일 열었다. 그러나 정작 한-일 간 가장 큰 쟁점인 ‘조선인 강제동원’의 강제성에 대해선 전혀 인정하지 않았다. 가노 다케히로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는 조선인 강제동원, 강제노역 등의 용어는 한마디도 사용하지 않은 채 “모든 노동자의 가혹한 노동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전시물을 전시했다”고만 했다. 모든 노동자라는 말로 일본인보다 더 가혹한 차별에 고통받았던 조선인 고유의 강제동원 피해 역사를 지워버린 셈이다. ‘역사 물타기’와 다르지 않다. 2015년 군함도 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 “1940년대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을 했다”고 강제성을 인정했던 것보다도 크게 후퇴했다.제정신이 박힌 정부라면 이런 상황에선 당연히 일본이 강제동원 역사를 부정하는 한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는 있을 수 없다고 일침을 놓았어야 마땅하다. 그러기는커녕 박근혜 정부 시절 군함도 수준의 규정조차 지키지 못했다. 외교부는 “강제성 표현 문제는 2015년 이미 정리돼, 이번엔 논의하지 않았다”고 했다. 어처구니없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아버지의 피, 땀, 눈물도 기록하라' 사도광산 피해자 유족, 유네스코에 호소문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인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 결정을 이틀여 앞두고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이 오늘(25일) 21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국에 “강제동원 피해 사실을 함께 기록해달라“는 내
Read more »
‘일본 사도광산’ 유네스코 유산 등재 확실시···조선인 강제동원 알리는 시설 설치한 듯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동원됐던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사실상 확정됐다. 사도광산 인근에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을 알리는 시설물을 설치하기로 한국과 일본이 잠...
Read more »
[사설]‘강제동원’ 빠진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정부 제정신인가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사도광산이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세계유산 등재는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원국이 모두 동의해야 표결 없이 이뤄지는데, ...
Read more »
일본 교수의 평가 '윤석열 정권이 언급 피하고 있다'[김종성의 히,스토리] 일본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윤 정부는 저지할 생각 있나?
Read more »
[속보]조선인 강제동원 ‘일본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군함도 때처럼 약속 안 지키면?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동원됐던 일본의 사도광산이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강제동원의 역사를 알리라는 세계유산위원회(WHC)의 권고를 일본이 이행할 것이라고 한국...
Read more »
[속보]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윤 정부 ‘강제성’ 빠진 채 동의일제강점기 때 조선인 강제동원이 대규모로 이뤄졌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일본 정부가 핵심 쟁점인 ‘조선인 강제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지 않았는데도 윤석열 정부가 동의해줬기 때문이다. 사도섬에 전시 시설을 만드는 등 성과도 있지만,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