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창에 총알 8발을 한 발 한 발 장전할 때마다 떠오른다. 어머니의 얼굴, 눈물짓는 아내, 어린 자식의 미소 그리고 해방된 조국의 모습…. 총알은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에...
탄창에 총알 8발을 한 발 한 발 장전할 때마다 떠오른다. 어머니의 얼굴, 눈물짓는 아내, 어린 자식의 미소 그리고 해방된 조국의 모습…. 총알은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에게 4발, 경호원들에게 3발이 명중됐다. 총을 발사한 자는 “대한독립 만세!”를 러시아어로 외치고 체포됐다. 마지막 남은 한 발을 쏘지 않은 이유를 묻는 일본 수사관에게 “나는 목적한 사람을 쏘았으니 그 후엔 발사할 필요가 없어서 멈췄다”고 대답했다. 그는 안중근이다.
독립운동의 여러 방식 중에서 일제의 상징적 인물에게 폭탄을 던지거나 총을 쏜 의사로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안중근 등이 있다. 이들은 거사 후 고문, 사형이라는 끔찍한 고난에 기꺼이 동의했다.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의 유해는 해방이 되고나서야 해외에서 봉환되어 1946년 효창공원에 묻혔다. 3인이 안장된 묘소가 ‘삼의사 묘’다. 그런데 삼의사 묘소엔 묘가 3개가 아닌 4개 있다. 2024년 사진의 맨 왼쪽 묘가 안중근의 가묘다. 그의 유해를 찾지 못해 비워놓은 가짜 묘다. 그래서 사의사 묘가 아니라 삼의사 묘라 불렀다. 안중근의 시신은 사라졌다. 일제는 사형 집행 후 죽은 안중근이 항일운동의 기폭제가 되는 것을 두려워해 유가족에게 돌려주지 않고 암매장해 버렸다.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 살해 증거인 권총이 분실됐다고 발표했다. 제국주의 일본의 심장을 관통한 권총도 사라졌다.
1971년 흑백사진 속의 삼의사 묘소는 황폐화돼 잔디가 심하게 훼손되어 맨흙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일본명 다카기 마사오였던 일본군 중위 출신 박정희는 삼의사 묘소가 있는 효창공원에 반공투사 위령탑을 노골적으로 세웠다. 이곳이 독립운동의 성지가 되는 것을 꺼린, 박정희의 불편한 심기가 드러난 게 아닐까 생각한다. 후손들이 안중근의 유해와 권총을 찾고 있지만 우리가 먼저 찾아야 할 것은 ‘이 땅의 정의’다. 독립군을 토벌했던 일본군 출신 친일파 76명이 현충원에 누워 있다. 친일파 무덤은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고 삼의사 묘는 용산구청이 동네공원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최근 ‘일본의 식민지배가 정당하다’는 자가 독립기념관 관장 자리에 앉았다. 해방 후 척결되지 않은 친일파들이 반공 친미주의자로 변신, 대대손손 권력을 누리면서 ‘이 땅의 정의’는 사라졌다. ‘독립운동을 하면 삼대가 망한다’는 말만큼 숨이 턱 막히는 열대야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안중근의 쾌거에 조선인들은 숨통이 트였다. 그의 총엔 아직 발사 안 된 총알 한 발이 남아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반세기, 기록의 기억] (133) 유성온천 만년장건물이 철거돼 터만 남은 2024년 사진은 ‘만년장’이 있던 곳이다. 1958년 대전 유성구 유성온천에서 장급 호텔로 개업한 만년장(萬年莊)의 한자표기인 장(莊)은 ‘장소를 ...
Read more »
[반세기, 기록의 기억] (134) 부산 서면부산은 조선시대에 동래현, 동래도호부, 동래군, 동래부 등으로 불렸고 바다에 면한 포구를 ‘부산포’(현재 부산의 동구)라 했으니, 부산은 동래의 아주 일부분에 불과했다. 고려...
Read more »
[반세기, 기록의 기억] (132) 남산 팔각정팔각정은 평면이 정팔각형으로 된 정자다. 한국 곳곳에 전망이 뛰어나거나 경치가 좋은 장소에 팔각정이 세워져 있으나, 아마 전국에서 가장 유명한 팔각정은 서울 남산 정상에 있는...
Read more »
故 현철 눈물의 영결식…'국민 애환 노래로 위로해준 애국자'(서울=연합뉴스) 최주성 기자=반세기 넘게 국민들의 슬픔을 노래로 달랜 가수 현철이 18일 영면에 들었다.
Read more »
독립운동단체 광복절 기념식 따로 개최…'친일기조 내려놓아야'(종합)(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김준태 기자=광복회 등 독립운동단체들이 광복절인 15일 정부 주최 경축식에 참석하지 않고 효창공원 내 백범기념관에서...
Read more »
독립운동단체 광복절 기념식 따로 개최…'친일사관 판쳐'(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김준태 기자=광복회 등 독립운동단체들이 광복절인 15일 정부 주최 경축식에 참석하지 않고 효창공원 내 백범기념관에서...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