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1호터널은 서울 중구 예장동과 용산구 한남동을 연결하는 터널이다. 길이 1530m의 이 터널은 남산을 남북으로 관통하면서 북쪽의 충무로, 을지로, 종로 등 도심과 남쪽의 ...
남산1호터널은 서울 중구 예장동과 용산구 한남동을 연결하는 터널이다. 길이 1530m의 이 터널은 남산을 남북으로 관통하면서 북쪽의 충무로, 을지로, 종로 등 도심과 남쪽의 한남대교를 건너 강남대로, 그리고 경부고속도로를 직접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1970년 개통한 남산1호터널은 전통적으로 동서로 발달했던 서울의 도로망이 남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강남 개발의 촉진제 역할을 했다.
두 사진은 1971년과 2024년 남산1호터널의 한남동 쪽 입구이다. 1971년에는 왕복 2차선의 터널을 택시들이 빠져나오고 있고 입구 양옆의 청동 조각상에는 비계가 설치되어 있어 아직 공사 중인 것으로 보인다. 2024년 사진을 보면, 오른쪽 조각상만 그대로이며 나머지 부분은 모두 달라졌다. 1970년대 이후 강남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교통량 급증으로 터널 확장공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공사는 기존의 터널을 넓히지 않고 옆에 새로운 터널을 뚫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94년 완공되었다. 새로 만든 터널은 왼쪽에 있는데 2024년 사진에는 보이지 않는다.
남산1호터널은 개통 당시부터 60원의 통행료를 내는 유료도로였다. 이후 50원으로 내렸다가 1979년부터는 100원을 냈다. 터널에 들어가기 전 운전자가 차창을 열고 100원짜리 동전을 금속으로 만들어진 ‘동전통’에 던져 넣어야 했다. 정확하게 던지면 ‘짤랑’ 하는 소리가 나면서 ‘골인’하여 나름 재미있었으나 정지 위치를 놓칠 수 있고 익숙하지 않은 왼손으로 던지면 빗나갈 수도 있어 터널을 통과할 때마다 괜히 긴장했던 기억이 난다. 100원짜리 대신 10원짜리 동전이나 바둑알을 던지는 꼼수도 횡행했다. 1996년부터는 ‘혼잡통행료’라는 명목으로 2000원을 받았다. 적지 않은 돈이므로 오전 7시~오후 9시의 징수 시간대를 피해 통행하거나 우회도로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았다. 한때는 오후 9시를 기다리며 터널 아래쪽에 정차하고 있는 차들도 볼 수 있었다. 또 통행료가 면제되는 탑승 인원 3인을 채우기 위해 카풀도 성행했다. 올해 1월부터는 도심으로 들어갈 때만 혼잡통행료를 징수한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반세기, 기록의 기억](137) 문익점고려 공민왕이 친원파의 핵심인 기철을 척살하고 원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자, 기철의 여동생이자 원나라 황후였던 기황후는 복수의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홍건적에 의해 수도 ...
Read more »
[반세기, 기록의 기억] (139) 남이섬 선착장중학생 때 남이섬을 처음으로 가족들과 놀러갔다. “남이장군 묘가 있어서 남이섬이라 하는데 원래는 섬이 아니었다”는 아버지 이야기가 신기했다. 일제강점기에 청평댐이 만들어지면서...
Read more »
[반세기, 기록의 기억] (140) 장충체육관1969년 이른바 ‘삼선개헌’으로 세 번째 대통령 출마가 가능해진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고전했다. 중앙정보부와 행정기구와 수백억원으로 추산되...
Read more »
[인스피아] 🎓‘디지털 저장 강박’의 시대 : 잡동사니와 기억저장강박, 기억, 메모, 잡동사니 더미, 북마크
Read more »
“철강 1번지 이젠 2차전지·바이오 도시로”…포항 대혁신 이끌어낸 이 남자취임 10주년 이강덕 포항시장 반세기 지역산업 주축 철강 정체 기로서 신산업 눈돌려 배터리·바이오 벤처 등 유치 산업 구조전환 본격 추진 12일 포항 첫 세계지식포럼 “미래 비전 구체화 기회로”
Read more »
반세기 넘어도 ‘실종’…확인되지 못한 공작원 김종철의 죽음오는 23일은 실미도 사건이 발생한 지 53년이 되는 날이다. 그날 김일성 암살을 위해 극비리에 만든 특수부대의 공작원들은 섬을 빠져나와 시내버스를 탈취하고 서울 청와대로 진격하다 자폭했다. 반세기 만인 오는 9~10월께 국방부 장관은 이 사건과 관련해 유족들에게 사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