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한 사회구성원 양성이바람직한 의미의 인구대책출산보다 결혼정책이 우선인구 위해 비혼 장려 안될말
인구 위해 비혼 장려 안될말 '대한민국 인구대역전'을 주제로 매일경제의 국민보고대회가 지난주에 있었다. 보고서는 심각한 인구위기를 극복할 대안으로 가족의 복원, 수도권 집중 완화, 이민정책, 과학기술 활용을 꼽았다. 여기서 못다 한 이야기가 있다. 바로 결혼이다.
체계적인 인구·결혼 통계가 시작된 1990년과 비교해봤다. 1990년 한 해 결혼 건수는 39만9312건, 당시 인구 4341만명을 감안하면 인구 1000명당 9건의 결혼, 결혼은 둘이 하는 것이니 18명이 결혼한 셈이다. 하지만 2023년, 인구는 5171만명으로 늘었는데 결혼 건수는 19만3657건으로 1990년의 절반에 못 미쳤다. 인구 1000명당 7명만 결혼한 비율이다. 더구나 결혼에서 출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재혼 건수를 제외하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1990년 재혼 비율은 10% 남짓이었는데 2023년 재혼 비율은 23%에 달한다.
인구 감소가 아무리 심각하더라도 비혼 출산을 인정하고 확대하자는 주장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인구를 늘리자는 주장 이면에는 건전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을 많이 키워내자는 뜻이 담겨 있다. 건전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은 화목하고 행복한 가정에서 양성된다. 인구를 늘려야 한다는 목표에 매몰돼 가정과 가족의 가치를 외면하고 무조건 출생 건수만 늘리려 한다면 인구 감소보다 더 큰 문제를 야기할지도 모른다. 매일경제 보고서가 인구대책의 제일 앞단에 가족의 복원을 내세운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매경데스크] '떴다방 정당'은 정치적 배임급진좌파 또 국회 '무혈입성'페이퍼컴퍼니 가짜정당 봇물엉터리 비례대표제는 수치새 국회 열리면 뜯어고쳐야
Read more »
[매경데스크] 量에서 質로 전환한 일본거래소 성과시총 500대기업 중 日업체버블때 200개, 현재 32개로거품붕괴 후 부진 계속 증시체질바꾼 일등공신 거래소상장社수 중시 양적경영서기업가치 중심으로 전환
Read more »
“지금이야말로 ‘재팬 패싱’을 버리도록 할 때다”…일본의 자신감, 그 중심엔 거래소가 있다 [매경데스크]세계시총 500대기업 중 日업체 버블때 200개서 현재 32개로 거품붕괴 후 부진이어온 증시 체질바꾼 일등공신이 거래소 상장社수 중시한 양적경영서 ‘기업가치 개선’ 질적성장으로
Read more »
[매경데스크] 헌신적 의사 개인과 이기적 의사 집단의대별 정원에 자율선발로정부는 의료계 퇴로 열어주고의사들은 본업 복귀로 화답해지난한 싸움의 끝 고했으면
Read more »
[매경데스크] 아파트 전세난 속 둘째 낳을 결심아파트 키드 MZ세대주거수준 눈높이 높아결혼·육아 부담 가중서울전셋값 44주 상승세오락가락 규제정책 대신수요맞춤형 공급책 필요
Read more »
회생법원에서 일하는 파산 과장의 고민책이 된 회생·파산 이야기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