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제34차 국민보고대회매경·성균관대 설문조사, 국민 64% '일회성 대책 효과없다'혼인건수 10년 새 반토막…직장문화·수도권 집중 개선부터
저출생 해소를 위해 정부가 지난 18년간 쏟아부은 돈만 380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사상 최저를 기록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도 최하위 수준으로 추락한 것이 한국의 현주소다. 4·10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앞다퉈 저출생 공약을 내놓았지만 국민들은 '낙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여전히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정부의 저출생 대책은 이제 민간과 함께 대전환에 나서야 한다. 저출생은 단순히 복지로 풀 수 있는 임계점을 넘었다. 가족의 복원과 수도권 집중 완화, 이민 확대, 기술 개발을 통한 발상의 전환이 시급하다.
19일 매일경제신문과 성균관대 넥스트 365프로젝트팀이 실시한 한국 사회동향조사에 따르면 총선 공약으로 최근 정치권이 내놓은 저출생 대책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64%가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설문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했다. 저출생 대책이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만 18~34세에서 68%, 만 50~64세에서는 73%에 달했다. 20·30대는 결혼과 출산의 당사자이고 50·60대는 이들의 자녀를 돌봐주는 '황혼 육아' 대상자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과당 경쟁이나 입시 지옥에 찌든 젊은이들이 미래 세대 삶이 지금보다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비관하는 점도 주원인이었다. 기존 제도·사회·문화 구조를 통째로 바꾸지 않는다면 저출생 문제는 해결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지금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으면 출산율 하락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라며"일·가정 양립이 어렵고 자녀가 나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까에 대해 자신이 없는 젊은 사람들은 10만~20만원 푼돈으로 유혹한다고 넘어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출산율 1도 안되는데 인구 늘었다고?”…‘이것’ 뿌리자 고급인력 넘쳐나는 싱가포르싱가포르, 합계출산율 0.97명인데 인구는 30년 전보다 85% 늘어 독일은 인구의 15%가 외국인 “이민 없이는 인구 위기 극복 못해”
Read more »
국힘 정진석 국립의대 공주 유치 발언에... 촉각 세운 충남도인구 1000명당 의사수, 공주 앞에서·예산 뒤에서 세번째?
Read more »
윤 정부 그린벨트 해제에 ‘총선맞춤’ 우려 나오는 이유들“논의 과정 배제한 총선용 정책…인구 감소·저성장 국면 경제 효과도 미미”
Read more »
캘리포니아 수십만명 탈출 사태…40년 살던 유명 배우까지 떠난다개빈 뉴섬 주지사 재임기간중 캘리포니아 인구 50만명 이상 감소 높은 세금·집값, 마약·범죄 증가 영향 실베스터 스탤론 부부도 떠나기로 플로리다 팜비치에서 새 둥지 트럼프 전 대통령과 인연도 주목
Read more »
“인구 줄어도 돈 벌 기회는 많아…지금 당장 여기 투자하세요” [Books]고임금 베이비붐 세대 은퇴 기업들 청년층 적극 채용 나서 고용률 1963년 이래 최고치 인구 줄지만 생산성 높아져 향후 10년간 한국경제 훈풍
Read more »
학교가 주민에게 다시 문을 열었다, 왜?···‘안전’ 우려는 숙제학교운동장과 체육시설이 학생들의 수업공간을 넘어 지역주민의 문화체육시설로 역할을 넓히고 있다. 인구 감소로 빈 공간이 늘어나는 학교를 주민들에게 개방해 학교시설의 쓸모를 유지...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