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 22대 국회의원 100인 설문 부자감세 주장하는 민주당내 ‘이견’ 당선인 10명중 7명 “의대증원 찬성”
당선인 10명중 7명 “의대증원 찬성” 22대 국회의원 당선인 10명 중 5명이 상속세 부담 완화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혔다. 상속세 완화를 ‘부자감세’라고 비판해온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중에서도 23%가 상속세 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매일경제는 지난 4·10 총선에서 승리한 여야 국회의원 당선인 100명을 상대로 주요 정책이슈와 입법과제 등에 대해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 100명 중 더불어민주당 소속은 60명, 국민의힘은 37명이었고,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 당선인들도 참여했다.
15일 집계된 설문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8%가 ‘상속세 부담 완화’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상속세 부담 완화를 추진 중인 국민의힘 당선인들 뿐 아니라 민주당 당선인 4명 중 1명도 상속세 완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전체 민주당 답변자의 23%가 상속세 완화에 부정적인 당론과 다른 의견을 낸 것이다. 현행 최고 60%에 이르는 상속세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는 데 여야 당선인들이 일정 부분 공감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여당은 물론 야당에서도 상속세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서울 양천갑에서 3선에 오른 황희 민주당 의원은 총선 전 열린 토론회에서 “상속세를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인 24~25% 정도로 낮추면 상속세 세수 확보가 더 많이 될 수도 있다. 상속세 일부는 폐지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대 정원의 경우 당선인 10명 중 7명이 찬성한다고 답변해 여야 모두에서 골고루 지지를 받았다. 다만 이 중 상당수가 증원 규모가 정부안대로 2000명이어야 한다는데 의문을 표했고, 단계적 확대와 추가 협의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42%가 2000명 증원에 찬성했고, 28%는 증권 규모를 줄이거나 정부와 의료계가 다시 증원규모를 협의해야 한다고 답했다. 민주당 뿐 아니라 국민의힘 당선인 가운데도 “확대는 필요하지만, 숫자에 매몰돼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與野 당선인들 당적떠나 '상속세 완화'22대 국회의원 100인 설문응답자 48% '승계부담 줄여야' 강화의견은 25% 불과의대 2천명 증원 42%가 찬성… 巨野 불구 협치 기대감
Read more »
“협치는 없다”···강성 당원 요구에 호응하는 민주당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압승한 더불어민주당의 의원들 사이에서 “협치는 없다”는 강경 발언이 쏟아지고 있다. 국회의장과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 후보들도 강성 당원들의 요구에 호...
Read more »
[경제직필]총선 이후의 ‘정책의 시간’그토록 요란했던 22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났다. 여당과 야당은 저마다의 계획과 향후 비전설계를 통해 국민에게 선택받고자 치열한 경쟁(이라고 쓰고 실상은 정치투쟁!)을 벌였다....
Read more »
'법사위 사수' 이재명 '법맥경화 재발 말아야''거야' 민주당, 22대 국회서 성과내려면 필수... 원내대표 단독 입후보 박찬대도 "절대 못 줘"
Read more »
22대 당선자 절반 '상속세 완화 찬성'… 개원 즉시 법개정을 [사설]제22대 총선 당선인 가운데 절반가량이 상속세 완화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일경제신문이 당선인 1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48%가 완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60명 가운데 상속세 부담 완화에 찬성한 이들은 14명으로 23%에 달했다. 현재 최고세율이 60%에 이르는 상속세가 비현실적이라는 데 여야 당선인들이 공감..
Read more »
여야 원내사령탑 첫 회동...'특검 협조' vs '훅 들어와'[앵커]22대 국회 첫 1년, 여야 협상의 열쇠를 쥔 국민의힘 추경호·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처음으로 만났습니다.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협치 의지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