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 총'이 난립하는 출판시장 '저격'한 묵직한 비판
"책은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여야 해." 이 표현은 카프카가 1904년 친구 오스카 폴라크에게 보낸 편지에 기술된 말이었다.그런데 도끼보다 더 강렬한 하나의 은유가 등장했다. 책을 독자를 저격하는 총으로 바라보는 책 '독자 저격'이다. 강렬한 문장과 번뜩이는 논리 그리고 시대를 진단하는 힘이 느껴진다.책은 독자를 살해하기 위해 격발되는데 제대로 책에 살해된 독자는 죽지 않는다. 책에 의해 거꾸러져본 독자는 생의 길목에서 생을 주파할 힘을 얻는다.
'총'으로서의 책의 힘은 이뿐만이 아니다. 심부를 저격당한 독자는 자신의 책을 '쓸 수도' 있게 된다. 독자에게서 두 번 이상 독파된 책은 그 독자의 삶에서 어엿하게 한자리를 차지하기도 한다. 그것은 한 인간이 구축한 정신 내에서의 왕좌다. 하지만 이런 아름다운 비유만이 이 책의 성취는 아니다. 날 선 비판으로 한국 출판시장 전체를 관조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책을 두 부류로 나눈다. '찰나의 책' 그리고 '영원의 책'.그러나 이 책들은 과녁으로서의 인간을 쏘기에 부적합하다. 애당초 과녁이 불필요한 장난감 총이기 때문이다. 가짜 총으로 쏘는 가짜 격발이다. 진짜 격발은 영원의 책에서 온다.찰나의 책이 일으키는 먼지에 파묻히면 영원의 책은 더 이상 '쏠' 수 없다. 영원의 책은 무력해진다.서점을 가보라. 영원의 책이 찰나의 책 사이에 숨어 기도비닉 중이다. 30년, 20년, 아니 1년만 지나도 찰나의 책은 내용은커녕 제목조차 기억되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책의 패배일까, 독자의 패배일까. 아니면 찰나의 저자가 자처한 패배일까.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김유태 기자의 책에 대한 책] '소설가란 결국 '중간에 때려치우지 않는' 사람이다'레이먼드 카버의 스승이었던 존 가드너의 문학세계
Read more »
'독서에 대한 새로운 정의'에 딱 맞는 책- 이전 기사 정재승, 김겨울 외 5인이 추천한 11권의 책에서 이어집니다. 김승섭 교수의 는 이권우 도서평론가가 추천한 책입니다. 김 교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중보건학자로 사회역학을 연구합니다. 사회역학은 질병의 '원인의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지요. 질병...
Read more »
책 읽기가 주는 놀라운 힘우리나라 독서 시장 흐름이 이상하다. 독서법에 관한 책은 잘 팔리는데 정작 책은 안 팔린다. 독서법을 알고 책을 읽으면 좋은 일이겠으나 정작 책은 안 팔린다니 이해를 못 하겠다. 인문학을 소개하며 필요성을 강조한 책은 잘 팔리는데 정작 인문학 관련 책은 팔리지 않는다.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은 필요...
Read more »
[아이랑GO] 롤 모델도 역경은 있다…퇴짜 맞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대처는?책과 함께 크는 아이를 바라신다고요? 근데 어떤 책이 좋은지 모르겠다면, 아이랑GO가 준비한 책 이야기를 보시는 건 어떨까요. 이번 주에는 많은 이들이 본받을 만한 업적이나 결과물을 남긴 롤 모델에 대한 책 이야기를 준비했어요.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 여기자 최은희』 한영미 글, 인디고 그림, 136쪽, 청어람주니어, 1만2500원 최초의 민간신문 여기자 최은희의 삶을 그린 이야기.
Read more »
트럼프, 부통령후보로 ‘힐빌리의 노래’ 주인공 밴스 상원의원 낙점39세 ‘강경보수’...72년래 최연소 부통령후보 러스트벨트 아픔 다룬 책 저자...경합지 승부수
Read more »
한 나라 국민의 정신병은 ‘이것’에서 오는가…50년간 잠들었던 거인의 책 [나쁜 책][나쁜 책, 시즌2] 마지막회| ‘지성과 반(反)지성’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