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형 일자리는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전기차 시대 주인공이 될 것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9년 전북 군산 명신 공장에서 열린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에 참석해 이같이 발언하며 군산형 일자리 사업의 성공을 자신했다.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였던 군산형 일자리는 지역경제 회생 대책의 일환으로 중견·벤처기업 중심 전기차 산업의 메카를 조성해 10조원대..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9년 전북 군산 명신 공장에서 열린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에 참석해 이같이 발언하며 군산형 일자리 사업의 성공을 자신했다.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였던 군산형 일자리는 지역경제 회생 대책의 일환으로 중견·벤처기업 중심 전기차 산업의 메카를 조성해 10조원대 경제효과를 제시했다. GM 등 대기업이 빠져나간 자리에 기술력을 갖춘 중견·중소기업들이 전기차 클러스터를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포부였다.
그로부터 5년이 지난 현재 성적표는 참담하다. 지난 4월 말 기준 참여 기업 4곳의 계획 대비 실적은 투자 53.8%, 고용 32.3%, 생산 1.3%로 사실상 '낙제점'이다. 결국 군산형 일자리 창출의 핵심 기업이었던 자동차 부품 기업 명신이 최근 전기차 사업 철수를 선언했다. 명신은 군산형 일자리에서 전체 고용의 70% 이상을 담당해왔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군산 전기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에 대한 '사망선고'로 받아들이고 있다. 군산형 일자리 사업의 실패에는 전 세계적인 전기차 수요 둔화 등의 외부 요인도 분명 영향을 미쳤다.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에 따른 관세 증가 등 국내외 여건이 크게 악화하면서 위탁사의 계약 미이행과 판매 감소 등 중소·중견기업의 역량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한계상황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재정 지원에만 의존한 채 체력이 취약할 수밖에 없는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는 소홀했다는 비판에 더 힘이 실린다.
명신은 입장문을 내고"친환경 전기 완성차에 주력했던 사업을 경쟁력을 갖춘 자동차 부품과 자동화 설비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라며 수습에 나섰다. 어찌 됐든 구조조정과 실직 사태는 불가피하다. 지금이라도 명신 사태의 후유증을 최소화해야 한다. 3년간의 재정 지원이 끝난 지금이야말로 정부와 지자체가 구체적인 지침과 계획, 후속 조치 마련에 머리를 맞대야 하는 시점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전기차 메카' 군산 키운다더니 … 고작 생산목표 1% 달성실패한 군산형 일자리 사업값싼 중국산 맞설 체력 부족일감 못따내고 공장건설 지연中企들 부품조립 명맥만 유지고용도 당초 계획 30% 그쳐재계 '산업 발전 비전 없이광주형 일자리 베끼기 급급'
Read more »
트럼프가 대통령 되면, 윤석열 정부는 이렇게 된다[강명구의 뉴욕 직설] 미국 민주주의 쇠퇴의 교훈
Read more »
[기자24시] 전공의가 '총알받이'인가'의료대란이 지속되길 바라는 개원의들도 많은데 왜 애꿎은 전공의들한테 불필요한 말을 했는지 모르겠네요.' 수도권 소재 한 상급종합병원 교수는 최근 의료계 측 소송 대리인이 공개적으로 던진 발언에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앞서 소송 대리인이 전공의들을 유령에 비유하며 날 선 비판을 쏟아낸 부분이다. 지난 16일 서울고등법원이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을 기각하..
Read more »
“내 신상 모조리 털렸다, 죽고 싶다”…벼랑 끝으로 떠밀리는 공무원들 [기자24시]2년 넘게 정부 부처와 공직 사회를 취재했다. 당시 머물던 세종시 숙소에서는 한밤중에도 대낮처럼 환하게 불이 켜져 있던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청사가 훤히 보였다. 늦은 밤을 불살라 일하는 공무원들이지만 매일 아침 칭찬 대신 강도 높은 민원부터 견뎌내야 한다. 전국에서 몰려온 시위꾼들이 살벌한 문구의 피켓을 들고 책임자와 실무자 이름을 불러대며 겁박을 해댔다.
Read more »
[기자24시] 홍범도 흉상 갈등 '더하기' 해법도 있다한쪽은 삽을 들고 문제의 씨앗을 파내려 든다. 다른 쪽은 '그 씨앗은 문제가 아니다'며 막아선다. 지금 육군사관학교 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을 둘러싸고 이어지는 갈등이 딱 이 모습이다. 군과 여권 일각에선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던 홍 장군의 흉상이 생도들의 귀감이 될 수 없다며 목소리를 높인다. 반면 광복회와 야권은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한 무장투쟁에서 ..
Read more »
[기자24시] 응원할 수 없는 김호중의 꿈음주운전은 심각한 중범죄다. 해마다 처벌이 강화돼도 사고는 크게 줄지 않고 있다. 지난해에만 1만3000건이 넘게 적발됐고, 22대 국회의원 예비후보자 중에도 음주운전 전과자 숫자만 143명에 이른다. 이 중에서는 당선자도 나왔다. 한두 잔 마시고 운전대 잡은 게 큰 죄가 되겠냐 하는 시절도 있었지만 지금은 시대가 완전히 달라졌다. 특히 공인(公人)이라면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