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대부분의 선거에서 여당과 야당은 정권안정론과 정권심판론을 들고나온다. 지난 총선에서는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여당의 정권안정론이 먹혔고, 지난 대선에서는 부동산 가격...
거의 대부분의 선거에서 여당과 야당은 정권안정론과 정권심판론을 들고나온다. 지난 총선에서는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여당의 정권안정론이 먹혔고, 지난 대선에서는 부동산 가격상승 등에 대한 야당의 정권심판론이 먹힌 셈이다. 이번 총선에서도 역시 안정론과 심판론이 등장했는데 우리에게는 판단 기준이 필요하다. 왜 정권을 안정시켜줘야 하는지, 왜 정권을 심판해야 하는지 분명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우선 여당은 경기 침체와 고물가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권 지지를 해달라고 말한다. 만약 현 정권 들어 경기부양과 물가안정을 위한 중요한 정책이 국회에서 거대 야당에 의해 막혔으면 이 말에 일리가 있다. 그런데 여당이 경기부양을 하겠다는데 야당이 막은 게 아니다. 오히려 추경하자는 야당의 주장을 윤석열 대통령이 귓등으로도 안 들었다. 물가안정정책은 물가담당 사무관까지 지정하면서 기획재정부 등 행정부가 이끌어왔다.
윤 대통령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걱정을 많이 했어야 했다. 한국은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1998년의 일시적 위기를 제외하면 인플레이션의 매운맛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이 항상 물가가 낮지는 않았다. 1980년 후반~1990년대 중반에 물가상승률이 매우 높았으나 경제가 고속성장을 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었다. 예를 들어, 1988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이 7.1%였으나 실질경제성장률이 12%였고, 1991년에는 물가상승률 9.3%, 경제성장률 10.8%였다. 2000년대 들어 코로나19 위기 전까지는 한국경제가 전성기만큼 성장하지는 못했으나 물가도 안정적이었다. 2001~2019년 물가상승률 평균이 2.4%인데 같은 기간 경제성장률 평균이 3.9%였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코로나19 위기 동안 공급사슬붕괴,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지속적인 공급 측면의 문제가 인플레이션을 가져왔다. 총수요 측면, 즉 소비, 투자, 수출 등이 잘되어 가격이 오른 것이 아니라 공급이 충분치 않고 생산비용이 올라 물가가 오른 것이다. 2022년 물가상승률 5.1%, 경제성장률 2.6%였고, 2023년 물가상승률 3.6%, 경제성장률 1.4%였다. 경제가 위축되면서 물가만 오르니 안 오르는 것은 내 월급뿐이라는 말들이 튀어나오기 시작했고 실제로 연평균 실질임금이 2022년, 2023년 연속으로 감소하였다. 실질임금 감소는 인플레이션의 진정한 매운맛이다. 대파 논란이 일으킨 분노에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러자 최근 들어 여당의 핵심 중진들이 잇따라 야권이 다수 의석을 가져간다면 식물정부를 넘어 대통령 탄핵을 운운하는 난장판이 될 것이라고 공포를 조장하고 있다. 현직 대통령이 탄핵당하는 것은 당연히 좋은 일이 아니다. 그러나 국정의 1차적 책임이 있는 집권여당이 선거 내내 자기반성은 없고 “범죄자, 운동권, 이·조 심판”이라는 심판론만 이야기한 것도 답답한데 이제 한국 난장판론까지 들고나온 것을 우리는 어떻게 봐야 할까? 우리에게는 두 번의 대통령 탄핵이 있었다. 첫번째가 2004년 3월12일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국회의원 193명의 찬성으로 가결되어 같은 해 5월14일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된 노무현 대통령 탄핵이다. 이 기간 동안 원화의 대미 달러 평균 환율이 1달러당 1160원이었다. 탄핵가결 3개월 전 2003년 12월 평균 환율이 1달러당 1192원이었으니 탄핵으로 인해 딱 32원 변했다. 2016년 12월9일 국회가 탄핵을 의결하고 2017년 3월10일 헌법재판소에서 파면 결정을 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 기간에는 평균 환율이 1달러당 1168원이었는데 탄핵 3개월 전 2016년 9월 평균 환율이 1달러당 1107원이었다. 탄핵으로 딱 61원 변했다. 시장이 온몸으로 보여준 대표적인 한국의 난장판은 외환위기이다. 1997년 11월14일 1달러당 986.3원이었던 환율이 1997년 12월23일에 1달러당 1962원까지 치솟았다. 두 배로 뛰는 데 한 달 조금 넘게 걸린 것이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경제직필]조용한 공천은 조용한 사익 추구한동안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천 논란으로 시끄러웠다. ‘친명’을 심고 ‘친문’을 찍어내는 공천이라는 해석이 많았다. 지난 이 대표 체포동의안 처리과정에서 자신에게 반기를 ...
Read more »
[경제직필]가계부채와 정부부채의 변주곡한국의 가계부채 규모가 크고 증가속도가 빠르다는 걱정이 많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으로 2023년 2분기 현재 가계부채는 GDP 대비 101.7%로 같은 기간 선진국 평...
Read more »
[경제직필]공약과 선택세계 25위의 1인당 국내총생산과 52위의 행복지수, 최저 수준의 출생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의 자살률, 노인빈곤율 2위, 연평균 노동시간 4위, 성별...
Read more »
[경제직필]조세 국가의 위기와 4월 총선작년 말과 올해 정부·여당은 다시 감세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완화,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상속세 완화, 가업승계 증여세 최저세율 적용구간 확대,...
Read more »
인건비는 75%나 더 쓰는데…9%씩 성장한 코스트코 비밀평균적인 재능, 평균적인 지능, 평균적인 성격이라는 게 존재하나요? 평균적인 학생, 평균적인 회사원은 있나요? 저자는 '평균이란 개념은 과학적 상상이 빚어낸 허상'이라고 강조합니다. 저자는 '이 원칙들을 통해 당신만의 진정한 고유성을 헤아릴 수 있다'며 '존재하지도 않는 평균에 자신을 비교할 필요가 없다'고 단언합니다. 우리는 맥락의 원칙에 따라 아이가 빛을 발할 만한 상황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
Read more »
이광재 '범야권 200석? 정신 못 차리는 사람들 얘기' [Y녹취록]■ 진행 : 조은지 기자■ 출연 : 이광재 분당갑 더불어민주당 후보◆ 기자 : 분당갑은 단일선거구가 된 지난 7번 선거에서 6번 보수당이 이겼습니다. 지난 2년 전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