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예타) 폐지를 추진한다. 치열한 국가 간 첨단기술 확보 전쟁 속에서 기술 개발 속도전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낡은 관습에서 벗어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혁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기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다만 예타 폐지가 국가 재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술 개발과 예산 낭비 억제라는 '두 마리 토끼..
정부가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폐지를 추진한다. 치열한 국가 간 첨단기술 확보 전쟁 속에서 기술 개발 속도전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낡은 관습에서 벗어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혁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기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다만 예타 폐지가 국가 재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술 개발과 예산 낭비 억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후속 대책이 절실하다.
국가 재정 낭비를 막기 위해 2008년 도입된 R&D 예타는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서 재정 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국가사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기술·정책 효과와 경제성을 평가해 재정을 투입할 가치가 있는지 판단하는데, 통상 7개월이 걸리는 예타에 발목이 잡힌 사이 기술 확보가 늦어진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신기술 R&D를 사전에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고, 예타 통과 후 주변 상황이 바뀌어도 이미 확정된 계획을 바꿀 수 없어 필요 없는 연구를 수년간 해야 하는 부작용도 있었다. 예타를 피하기 위한 소규모·단기 R&D가 난립하면서 사업성 없는 기술만 양산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2015년 426개였던 주요 R&D 사업 수는 지난해 1266개로 3배 가까이 늘었다.
민간 부문만으로는 투자하기 힘든 기초 연구와 인공지능 반도체·첨단 바이오·양자 과학 등 혁신기술 개발을 예타 없이 신속하게 지원한다면 연평균 9조원에 육박하는 국가 R&D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다.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지난 15년간 R&D 예타 제도를 통해 130개 사업을 걸러내는 등 재정 절감 효과도 분명했던 만큼 불필요하게 새는 예산을 막을 장치가 뒤따라야 한다. 부처 간 중복 지원과 유사 R&D·브로커 난립 등 고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사업 심의제도 도입은 시급한 과제다. 주기적으로 사업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등 사후 평가도 강화해야 한다. 심사 인력의 전문성과 신뢰도도 높여야 한다. R&D 예타 면제는 법 개정 사안으로, 야당 협조를 얻어내는 것도 정부에 남겨진 숙제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대형R&D 예타 족쇄 푼다 … AI반도체·차세대 배터리 속도전정부, R&D예타 전면 폐지 가닥전세계 기술경쟁 심화되는데타당성 평가 문턱에 하세월예타 폐지땐 年9조 사업 수혜내년 R&D 예산도 대폭 확대재정 건전성 악화 우려 있지만정부 '부처 지출한도 내 관리'
Read more »
'기술전쟁 골든타임' R&D예타 폐지 추진내달 국가재정전략회의 개최배터리 등 첨단기술 선점속도사후검증 프로세스 대폭 강화
Read more »
패륜가족엔 상속 인정말라는 헌재 결정, 빠른 입법 뒤따라야 [사설]헌법재판소가 고인의 유언으로 상속에서 제외한 자녀·배우자·부모·형제자매에게도 일정 상속분을 보장하는 유류분 제도에 대해 위헌 및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고인의 재산 형성에 기여가 없는 형제자매에 대한 유류분 인정은 위헌 결정했고, 유류분 상실 사유를 규정하지 않은 민법 조항에 대해서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1977년 도입된 유류분 제도가 47년 만..
Read more »
악몽 끝낸 삼성 반도체, 전방위적 국가지원도 뒤따라야 [사설]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깜짝 실적을 올렸다.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배 가까이 늘고, 매출액은 2022년 4분기 이후 처음으로 70조원대를 회복했다. 반도체 부문은 5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긴 불황의 터널을 빠져나왔다. 그 덕분에 나라 전체 반도체 수출도 1~2월 195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7.9% 증가하는 등 본격적인 ..
Read more »
대통령실 'R&D다운 R&D 위해 내년 역대 최대 예산 편성'대통령실은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박상욱 과학기술수석은 오늘(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R&D다운 R&D를 위한 정부 지원 방식의 개혁이 완
Read more »
[사설]총선 앞에 “R&D 아픔 줬다”는 정부, 사과하고 바뀔 것 많다대통령실이 3일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R&D 예산이 대폭 삭감된 데 대해 “연구자들에게 아픔을 드린 것도 사...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