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硏 전망 수도권은 1% 상승 강보합 지방은 올해 이어 2% 하락
지방은 올해 이어 2% 하락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하고 전세가격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수도권의 경우 매매가가 소폭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분석됐다.건산연은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1.0% 하락하는 반면 전세가격은 1.0%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수도권 주택가격이 1.0% 상승하는 강보합세를 보이는 반면, 지방은 2.0%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시장 심리가 연초 대비 상당폭 회복됐지만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가격 수준”이라며 “9월 이후 은행의 대출심사 강화, 전반적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와 같은 가격 상승은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세시장의 경우 매매 수요 축소로 인한 임대차 시장으로의 수요 유입과 내년 입주물량 감소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월세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나 전월세 전환율 하락과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중 상품금리 인하 영향으로 전환 속도는 다소 둔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전세자금대출의 DSR 편입 논의, 주택 소유자 변경 시 전세자금대출 제한 등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내년 공동주택 분양은 29만호 수준으로 예상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신축 아파트에 대한 시장 수요가 확인됐고, 누적된 미착공 물량과 3기 신도시 사업장의 본청약 일정 등을 고려하면 분양 물량이 다소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위축적인 공급자 금융 시장과 시공사에 대한 신용보강 및 초기분양 실적 요구 등 해결되지 않은 분양 관행이 제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건설수주가 전년 대비 2.2% 증가한 210조 4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공수주는 SOC 예산 감소 영향으로 1.7% 감소하나, 민간수주는 금리 하락과 3기 신도시 추진 영향으로 4.1%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건설투자는 전년 대비 2.1% 감소한 295조 3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2022~2023년 건축 착공 감소 영향이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건설투자 부진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투자 회복을 위한 지원 강화 및 관련 규제 합리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United States Latest News, United States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내년에도 금융사는 돈 잘번다...금리하락에도 은행·자본시장 실적은 개선하나금융연구소 2025년 금융산업 전망 발표 가계대출 관리로 은행 대출성장은 둔화 수익성 유지 캐피탈은 리스·할부 위축, 저축은행도 PF 부실로 성장 제약
Read more »
[경제직필]2025년 한국경제 전망얼마 전 발표된 2024년 3분기 경제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0.1%로 한국경제가 경기침체 속에 여전히 허덕이고 있음을 보여줬다. 물론 2분기의 -0.2%라는 역성장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연간 2.6% 성장률을 목표로 한 정부 입장에선 매우 난처한 성적표다. 더욱이 정부는 연초 2024년 2.2% 성장할 것이라고 했었는데, 1분기 성장률이 1.3%나 높...
Read more »
“내년 신규 분양, 올해보다 5만 가구 많다…해외 건설수주 늘어날 것”건설경영협회, 2025년 건설시장 분석
Read more »
김동연 “정부 예산안, 국민 신뢰 잃는 레임덕 예산”경기도 2025년 본예산 편성안 기자회견··· “담대한 확장재정 휴머노믹스의 길 가겠다”
Read more »
“이제 서울은 오피스텔도 오르네”...매매·전셋값 상승세 전환부동산원,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서울, 0.05% 올라 2022년 3분기 이후 첫 상승전환 경기·인천·지방은 매매·전세 하락세 지속
Read more »
집값 상승 전망 9개월 만에 둔화…금리 하락 기대는 크게 높아져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영향 등으로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전망이 9개월 만에 소폭 둔화했다. 다만 집값이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여전히 우세하고 금리 하락 기대는 크게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10월 주택가격
Read more »